광고 / Ad

[금융위원회][보도참고] 바이오·제약주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btn_textview.gif

1.?최근 동향
?
?바이오·제약 산업은 고령화·선진 사회에 미래 경제발전의 원동력이?되는?고부가 가치 산업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
*?대통령은?2019.5.22.?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을 통해?바이오·헬스 산업?차세대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
?
?투자 확대 및 기술발전에 힘입어 국내 바이오·제약산업의?쟁력이?강화되고?신약 개발도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음
?
*?글로벌 제약사에 대한 신약기술이전 규모가?5조원 돌파(2018년 기준)
?
?최근?바이오·제약 산업에 대한?성장가능성 및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여 관련 기업?주식에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
구분
KOSPI?의약품업종
KOSDAQ?제약업종
합계
2014년말
145,947억원
(GICS*기준?177,119억원?)
151,256억원
(GICS기준?222,293억원)
297,203억원
(GICS기준?399,411억원)
2019.9월말
63조9,119억원
(GICS기준 70조8,585억원)
244,483억원
(GICS기준?481,892억원)
883,602억원
(GICS기준?119477억원)
(참고)?거래소 지수 중 바이오 관련 업종 시가 총액 규모?
?
*?(GICS)?「 S&P·MSCI가 개발한 증권시장 전용 산업분류 기준에 따른 헬스케어 부문
?
ㅇ 특성상?많은 시간·비용 및 고도의 기술력이 투입되는 의약품 개발 및 승인 과정에서의?성공에 대한 불확실성도 존재함
?
* 2006년~2015년 중 美FDA의 신약 승인(임상 3상 통과)에는 10년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고 최종 임상 통과율도 9.6%(美바이오협회 조사)
?
-특히, 최근 신약에 대한 안전성 논란, 기술이전 계약 체결·해지, 임상실패에 따른?주가 급변으로?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바 기업의 본질적 가치에 기반한?신중한 투자 판단을 할 필요
?
2.?과거 주요 불공정거래 사례
?
□ 바이오·제약 기업은 기술개발·임상시험 관련 정보 공시 전, 정보비대칭 및 주가급변을 이용한?미공개정보 이용행위의 표적이 되거나,
?
?공시내용의 특성(전문적인 첨단기술 관련 사항)?검증이 쉽지 않은?점을 노려 신약개발ㆍ바이오산업 진출 등의?허위사실 유포?등으로?주가를 부양하는 사례가 있음
?
1
???
미공개 정보 이용 사례
?
□ A사(제약회사)의 임직원은 A사와 외국계 제약회사간 기술이전 계약 해지 사실(악재성)을 직무상 지득한 뒤, 동 정보가 공시되기 전?이를 회사 동료·지인들에게 전달하여 보유하던 A사 주식을?집중매도하게 하였음
?
*?동 정보 공시 전 다수의 내부자(제약회사 임직원)을 통해 미공개 정보가 사전에 광범위하게 유출되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야기
?
□ 증선위는 2016.10.13.?미공개 정보 이용행위 혐의로 A사의 직원(내부자) 등?7명을 검찰에 1차 통보한 뒤, 후속 조사를 통해2017.5.24. 미공개 정보수령자?14명에 대해?과징금 처분(시장질서교란행위)을 하고, 추가로 발견된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자?2명?검찰 고발하였음
?
2
???
부정거래 사례
?
?B(제약회사)의 대표이사는 실현능성이 낮은?의약품?임상시험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식약처에 신청한 뒤,?과장성 홍보를 함으로써?투자자의 매수세를 유인하고 주가를 상승시킴
?
* B사의 대표이사는 신약개발에 성공하였다는 과장성 홍보를 통해 B사의 주가 상승을 견인한 뒤, 보유지분을 처분하여 부당이득을 취득
?
?증선위는?2018.5.18.?허위·과장성 보도자료 유포를 통해 주가를?인위적으로 상승시키고 투자자의 매수를 유인한?B사의 대표이사를?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부정거래)?검찰에 통보하였음
?
3.?투자자 유의사항
?
1
???
바이오ㆍ제약주에 대한 「묻지마식 투자?자제
?
?바이오·제약주는?임상시험 성공 여부?등에 따라?주가?급변할 수?있으므로 무분별한 투자는?큰 손실?초래할 수 있음
?
?바이오ㆍ제약 사업에 관한 낙관적 전망을 막연히 신뢰하지 말고 면밀히 검토하여?합리적 투자판단을 할?필요
?
2
???
바이오ㆍ제약주 투자 시 임상시험 관련 「과장ㆍ허위 풍문」유의
?
?개발신약의?임상시험?대부분 해외에서 이루어지고?많은 시간?소요되는 관계로?정보?비대칭성으로 인한?허위 풍문?노출?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유의하여야 함
?
3
???
근거가 없거나 확인되지 않은 풍문을 유포하는 행위는 처벌대상
?
?임상시험 관련 확인되지 않은?허위사실?또는?과장된 풍문?하는 경우 불공정거래 행위로?형사처벌이나?과징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음
?
4.?향후 계획
?
?금융당국은 바이오·제약 관련주의?이상매매??허위사실 유포 행위?모니터링하는 등 적극 대응할 예정
?
?
?
?
?
?
?
<?증권불공정거래 신고센터?>
☞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 신고/제보 전화 (02-2100-2543)
☞ 금융감독원 증권불공정거래 신고센터
- 인터넷 : 증권불공정거래 신고센터(?http://www.cybercop.or.kr) 접속
- 전화 : 1332 또는 02-3145-5572, 5573, 5546, 5556
- 팩스 : 02-3145-5580
☞ 한국거래소 불공정거래신고센터
- 인터넷 :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신고센터(?http://stockwatch.krx.co.kr) 접속
- 전화 : 1577-0088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