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자료」발표

btn_textview.gif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자료」발표

- ‘2020 영양소 섭취기준’을 다양한 분야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영양소 섭취기준’이란? 국민의 건강증진과 만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에너지 및 각 영양소의 적정 섭취수준을 제시하고 개인의 식사계획, 급식 관리, 국가의 식품영양 정책, 식품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준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0년 개정된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진행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연구((사)한국영양학회)’ 결과를 발표했다.

□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은 국민의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에너지 및 각 영양소의 적정 섭취수준을 제시한 것으로,「국민영양관리법」에 근거하여 2015년 국가 차원에서 처음 제정된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개정한 것이다.

 ○ 특히 이번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연구’를 통해 대상자별 영양 메시지와 활용 도구, 교육 및 홍보자료 등 맞춤형 활용방안이 마련되었다.

       * 「국민영양관리법」제14조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5년 주기로 제·개정하여 발표 및 보급하도록 규정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식품군별 대표 식품을 선정하고 1인 1회 분량을 설정하며, 권장 식사패턴, 식사패턴에 따른 생애주기별 균형 잡힌 식단을 제시하는 권장 식사구성안 등 식사계획 및 식사 평가도구가 제시되었다. (붙임 2 참조)

○ 둘째, 최근(2017-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영양소 섭취 상태를 분석하여 생애주기별, 성별, 생활환경별 영양 문제를 범주화하고, 이와 관련된 대국민 메시지를 카드뉴스 형태로 제작하였다. (붙임 3 참조)

○ 셋째,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기반하여 권장 식품 등을 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낸 식품구성자전거 이미지를 제작하고, 식품구성자전거 포스터는 국문 외 4종의 외국어(영어, 일어, 중국어, 베트남어) 버전으로 추가 개발하였다. (붙임 4 참조)

○ 넷째, 일반인을 위한 카드뉴스 2종(식품구성자전거, 식사구성안의 활용)과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책자가 제작되었으며, 국민 인지도 향상을 위해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로고(안)’을 제시하였다. (붙임 4 참조)

○ 다섯째, 균형식사 계획을 위해 시각화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안이 개발되었고, 제철 식품을 이용한 균형식 요리법이 제안되었다. (붙임 5 참조)

  - 또한 사전·사후평가(설문지)를 포함하여 10차시로 구성된 교수 학습안이 수록되고, 교육용 PPT 자료 등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번에 개발된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자료들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및 국민영양관리 기본계획과 영양표시제도 등의 국가 식품영양정책 수립,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플러스 사업 등 식생활 관련 사업, 식품 개발 시 사용되는 영양소 기준치, 유치원 및 보건소에서의 식사계획과 식사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또한 생애주기별 ·성별로 범주화된 영양 문제에 대한 ‘대국민 메시지’와 여러 종류로 개발된 ‘카드뉴스‘를 제공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 해당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단, 인용 시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 하며, 무단복제 및 전재를 금함)

    ※ 보건복지부 누리집(http://www.mohw.go.kr) > 정보 > 연구/조사/발간자료 한국영양학회 누리집(http://www.kns.or.kr) > KDRIs > 자료실

□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임인택 국장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자료’가 국민들의 건강증진과 식생활 관리에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 정부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자료’를 건강증진 정책에 활용하고 홍보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붙임> 1. 영양소 섭취기준 제·개정 과정
           2. 표준 식사구성안 개발
<붙임> 3. 영양 문제의 범주화 및 대국민 메시지
<붙임> 4. 식품구성자전거 및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로고(안)
<붙임> 5. 교육 자료 개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