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제조 표준으로 앞당긴다

btn_textview.gif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제조 표준으로 앞당긴다

-‘업 업무시스템 및 자동화(ISO/TC184/SC5)국제표준화 회의 개최 -

- 우리나라가 제안한 가상 생산 시스템국제표준으로 추진 -


 

제조 기업의 업무시스템과 생산자동화 국제표준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 독일 등 스마트제조 주요 선도국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 이하 국표원)1121부터 23까지 국내외 스마트제조 표준 전문가 4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기업 업무시스템 *의 통합운용 및 상호운용성을 논의하는 ISO/TC184/SC5 국제표준화 회의를 개최했다.

 

* 제조실행시스템(MES),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전사적자원관리(ERP), 공급망관리(SCM) 등 기업의 업무시스템

 

 

< ISO/TC184/SC5 국제표준화 회의 개요 >

 

 

 

ㅇ 기술 분야 : 기업 업무시스템과 자동화 응용을 위한 상호운용성, 통합 및 아키텍처

 

일시 / 장소 : 20221121() ~ 23() / 제주 해비치호텔

ㅇ 참석 : 미국(10), 중국(7), 일본·독일·프랑스·멕시코(2), 스웨덴·이스라엘(1), 한국(15) 등 온·오프라인으로 40여명 참석

 

ㅇ 주요 일정 : 총회(21, 23), 작업반 회의(21~22), 국제콘퍼런스(22)


 

번 회의에서는 제조 기업 업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이터 저장방식, 상호운영 절차 등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과 제조 현장에서 표준의 활용, 확산을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ㅇ 우리나라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제안한 자동화 시스템 통합 관련가상 생산 시스템표준*은 국제표준안(DIS)**으로 진행중이며, 내년 하반기 중에는 최종 국제표준(IS)으로 제정될 예정이다.

 

* ISO DIS 16400-3 ‘가상 생산 시스템의 제조설비 동작 명세서

** 제표준 제정절차 : 신규작업표준안(NP) 작업반초안(WD) 위원회안(CD) 국제표준안(DIS) 최종국제표준안(FDIS) 국제표준(IS) 제정

 

- 그리고 동 표준안은 실제 제품 생산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공정에서 병목 개선, 디지털트윈 기술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 우리나라는기업 업무시스템 간 데이터교환(KS X 9101)’국가표준 개발 와 전기차·가전·조선·소재부품 등 4개 분야에 적용한 사례*를 발표하고, 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해 국제표준안 제안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 대중공업 및 협력사가 KS X 9101의 데이터 교환 모델을 적용하여 기업 간의 제조데이터를 연동시킨 사례 등 소개

 

국표원은 이와 병행하여 국제회의 참석자들과 함께 스마트제조 표준의 활용, 확산을 위한미래공장 표준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하여

 

국내외 전문가들과 기업 업무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방법, 공정의 생산성을 지표화하는 방법의 표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표원은 콘퍼런스를 통해 스마트제조 표준의 확산을 위해 국내외 민관 협력 기반을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표원 이상훈 원장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기업의 업무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하면서,

 

사각형입니다. 우리의 제조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전문가의 표준화 활동을 지원하고,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표준안으로 적극 개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