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정식 서명으로 아세안의 디지털 허브, 싱가포르와의 디지털 동맹 구축

btn_textview.gif

-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정식 서명으로
아세안의 디지털 허브, 싱가포르와의 디지털 동맹 구축

- 우리나라 최초의 디지털통상협정인 한-DPA 서명 -

-아세안 정상회담 후속으로 아세안과의 디지털 협력 강화의 구체적 성과 -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22.11.21() 탄시렝(Tan See Leng)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제2장관과 -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Korea-Singapore Digital Partnership Agreement, 이하 -DPA’) 서명하였다.

 

ㅇ 양측은 지난해 12월 한-DPA 타결 선언 이후, 협정문 법률 검토 및 국내 심의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오늘 서명을 마지막으로 양국 간 협상 절차를 완료하였다.

 

< -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KSDPA) 서명식 개요 >

 

· (일시/장소) ‘22.11.21() 14:30 (현지시각)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 (참석자) 우리측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싱측 탄시렝 통상산업부 제2장관 등

· (내용) 양측 인사말씀, 협정문 서명, 디지털경제대화 MOU 서명, 기념사진 촬영 등


 

-DPA 서명은 금번 아세안 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로서, 아세안 디지털 허브국가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역내 경제통상 질서를 선도하고 디지털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아세안 통상협력 전략의 구체적 실천 사례이다.

 

안 본부장은 서명식에서 글로벌 통상의 중심축이 기존의 상품·서비스 개방 논의에서 디지털경제, 공급망, 탄소중립 등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다양한 이슈에서와 연대와 협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두 번째로 체결한 -FTA가 한국의 광범위한 FTA 네트워크 구축의 기반이 되었듯, -DPA가 앞으로 한국이 확장해나갈 디지털 통상 네트워크의 모델이자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하며,

 

-DPA를 기초로 DEPA 네트워크 확장, IPEF 디지털 협상 아태지역 디지털통상 질서 확립 논의에 있어 양국 간 긴밀한 공조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하였다.

 

[ -DPA 의의 ]

 

디지털 방식을 통한 우리 중소·창업기업의 아세안 진출 기회 확대


 

싱가포르는 우리나라의 11위 교역 상대국이자 아세안에서 가장 앞서 있는 디지털 허브 국가. 싱가포르를 교두보로 우리 기업의 아세안 시장진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쇼피(Shopee), 라자다(Lazada) 아세안 전역의 네트워크를 보유한 싱가포르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한류 콘텐츠를 좋아하고 인터넷 쇼핑에 익숙한 젊은 아세안 소비자들을 우리 기업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으며,

DPA무역과정 전자화, 통관절차 간소화로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중소·창업 기업의 무역참여를 더욱 손쉽게하여,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우리 소비재(화장품, 의류, 식품 등)의 아세안 수출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ㅇ 또한, DPA는 컨텐츠를 포함한 디지털 전송에 대한 영구적 무관세디지털 제품에 대한 비차별 대우를 약속함으로써, -싱 양국간 디지털 컨텐츠 비즈니스의 안정적 환경을 마련하였다.

 

데이터를 활용한 글로벌 제조혁신 기반 구축


 

싱가포르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기업환경을 토대로 한 글로벌 기업의 아세안 진출 거점으로, 최근에는 혁신 기술과 스타트업의 테스트베드로 각광 받고 있다.

 

탄탄한 제조 경쟁력을 갖춘 우리 기업싱가포르를 거점으로 기술혁신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선진화 추진 중이며,

 

DPA는 양국 간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협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태지역 및 글로벌 디지털통상 규범 정립에 주도적 역할


 

싱가포르는 높은 디지털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통상협정 체결을 통한 글로벌 규범형성 논의를 선도하고 있다.

 

* 싱가포르는 싱··DEPA(‘20.6), -DEA(’20.8), -DEA(‘21.12)을 체결하였으며, 호주, 일본과 WTO 전자상거래 협상 공동의장국으로 활동중

 

우리 최초의 디지털 협정인 한-DPA를 발판으로, DEPA 네트워크 확대, IPEF 디지털 분야 협상 등 아태지역 디지털 통상 질서 확립 논의에서 양국 간 공조와 협력을 더욱 긴밀히 할 예정이다.

 

[ 관련 MOU 체결 ]

 

한편, 양국 통상장관은 협정문 서명에 이어-싱가포르 디지털경제 대화 MOU에 서명하였으며, 내년 초 제1차 디지털경제대화를 개최할 계획이다.

 

동 대화는 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기업, 학계, 연구기관 등 민간 부문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양국이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 지원하기 위한 협력 창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DPA에 포함된 협력 조항을 바탕으로 양국 정부 기관 간 호혜적·실질적 협력사업 추진 논의가 진행중으로,

 

전자적으로 발급된 원산지증명서 전자통관 서류를 인정·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교환 협력(관세청), 인공지능(AI) 분야 윤리·거버넌스 체제 공동연구 등 협력(과기정통부)을 위한 기관 간 약정(MOU)이 조만간 체결될 예정이다.

 

기관 간 약정 주요내용

- (전자적 통관 데이터 교환 협력 MOU) 원산지증명서 등 FTA 통관 문서의 전자적 교환 및 검증 절차 운영 (관세청 싱가포르 세관)

- (AI 협력 MOU) AI 윤리·거버넌스 체제, AI 스타트업, AI 인재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정보교환, 공동연구, 인적 교류 등 협력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싱 정보통신부(MCI))

 

[ 향후 계획 ]

 

정부는 내년 초 -DPA 발효를 목표 싱가포르측과 필요한 절차를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DPA 협정문과 상세설명자료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 홈페이지(www.fta.go.kr)에서 ’22.11.21() 17시 이후 확인할 수 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