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2년 10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btn_textview.gif

22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월 대비 7.3% 증가

- 오프라인 유통업체 6.4% 증가, 온라인 유통업체 8.2% 증가 -


 

 

<‘2210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매출 증감률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48318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7pixel, 세로 19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4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5pixel, 세로 162pixel


 

1. 전체 매출 동향

 

(전체 매출) 오프라인 부문(6.4%)온라인 부문(8.2%)성장세를 보였으며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7.3% 상승

 

(오프라인) 물가인상, 전년 대비 온화한 날씨 등으로 계절가전·대형가전 판매가 저조한 반면, 외부활동 증가 영향으로 패션/잡화, 아동/스포츠 등은 판매 증가

 

(온라인) 지속적인 물가인상에도 간편식·서비스(e쿠폰, 공연·여행 상품 등) 판매호조세가 이어지며, 아동/스포츠를 제외한 전품목에서 매출 상승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규모(조원) : (’22.8) 7.65 / 6.96 (’22.9) 7.54 / 6.67

(’22.10) 7.60 / 7.06

 

<주요 유통업체의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21

‘22

10

11

12

1

2

3

4

5

6

7

8

9

10

전체

14.4

9.6

11.6

13.9

4.7

7.1

10.6

10.1

9.2

9.7

15.4

7.5

7.3

오프라인

10

4.6

10.3

18.4

3.8

6.3

10.2

9.3

9.3

12.1

14.5

6.0

6.4

온라인

19.7

14.8

12.8

9.1

14.2

7.9

11.0

11.0

9.1

7.3

16.4

9.1

8.2


(상품군별 매출) 서비스/기타(19.3%), 식품(10.5%)등의 매출은 상승하였으나, 가전/문화(2.5%), 생활/가정(2.1%) 상품군의 매출은 하락

 

(오프라인) 가전/문화(20.9%) 분야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나, 아동/스포츠(19.7%), 패션/잡화(10.1%) 분야 등에서 매출 상승

 

(온라인) 서비스/기타(32.2%), 식품(15.6%), 패션/잡화(4.8%) 분야를 비롯해, 아동/스포츠(4.9%)를 제외한 전 품목에서 상승세 유지

 

<’2210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

문화

패션/

잡화

아동/

스포츠

식품

생활/

가정

서비스/

기타

해외유명

브랜드

전체

(비중,%)

7.3

(100)

2.5

(12.9)

7.4

(14.2)

5.2

(6.3)

10.5

(33.7)

2.1

(11.9)

19.3

(15.0)

8.1

(6.1)

오프라인

6.4

20.9

10.1

19.7

8.1

6.2

7.7

8.1

온라인

8.2

0.2

4.8

4.9

15.6

0.9

32.2

-


 

(구매건수·구매단가) 외부활동 증가로 모든 오프라인 업태의 방문객이 늘어나며 전체 구매건수(9.2%)증가하였으며, 가전 판매 부진 등으로 대형마트의 구매단가가 감소하여 전체 구매단가(2.6%)감소

 

<’2210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구매건수

9.2

1.8

4.9

10.7

2.4

구매단가

2.6

2.3

3.0

0.4

1.1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업태별 매출 비중) 전년 동월 대비 온라인 매출 비중이 소폭 증가(0.5%p)

 

오프라인 업태 중 백화점(0.1%p)·편의점(0.6%p)매출 비중은 늘고, 대형마트(1.0%p)·준대규모점포(0.1%p) 감소

 

<’21vs. ’2210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110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2210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4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1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4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4pixel, 세로 300pixel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오프라인 유통업체


 

대형마트(0.5%)매출 소폭 하락하였으나, 백화점(8.0%)·편의점(11.2%)준대규모점포(3.5%)매출 상승세 유지하며, 전체 매출은 6.4% 증가

 

(대형마트) 시즌 가전(김치냉장고, 온열가전 등잡화(보온 이너웨어 등) 매출 부진이 두드러지며 잡화(33.7%)·가전/문화(20.9%)에서 큰 폭 하락하여 전체 매출은 0.5% 감소

 

(백화점) 해외유명브랜드(8.1%)의 신장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며, 여성캐주얼(19.0%)·아동스포츠(16.6%) 가정용품(11.1%)을 제외한 전 품목에서 매출 상승하며 전체 매출은 8.0% 증가

 

(편의점) 물가상승 및 근거리 쇼핑 추세에 따라 이용객수가 늘며 전 품목에서 판매호조를 보이면서 전체 매출 11.2% 증가

 

(준대규모점포) 일상용품(3.2%) 등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물가인상에 따른 외식수요의 내식 전환으로 가공식품(9.4%)·신선/조리식품(5.2%) 등에서 매출이 크게 상승하며 전체 매출은 3.5% 증가

<’2210월 오프라인 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매출 증감률

6.4

0.5

8.0

11.2

3.5


 

(점포당 매출) 점포당 매출 백화점(8.0%)·편의점(2.7%)·SSM(2.7%) 모든 업태에서 증가하였으며, 점포수는 대형마트(1.6%)에서 소폭 감소

 

<’2210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구분

전체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SSM

점포당 매출 증감률

7.3

1.0

8.0

2.7

2.7

점포 수 증감률

8.0

1.6

0.0

8.3

0.8


 

 

온라인 유통업체


 

e-쿠폰, 해외여행 상품, 프로야구 티켓 등의 판매 호조서비스/기타(32.2%) 판매 상승세가 유지되면서 온라인 전체 매출은 8.2% 증가

 

ㅇ 물가상승으로 집밥 선호도가 올라가면서 간편식 등 수요 증가와 따뜻한 날씨로 인한 외부활동 증가로 식품(15.6%)·화장품(14.5%) 분야의 판매 호조세가 유지

 

<‘229월 상품군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률·매출비중 (단위 : %)>

구분

전체

가전

전자

도서

문구

패션

의류

스포츠

화장품

아동

유아

식품

생활

가구

서비스기타

매출증감률

8.2

0.1

4.7

1.0

7.0

14.5

2.4

15.6

0.9

32.2

매출비중

100.0

22.3

1.8

10.2

3.7

4.6

3.2

23.2

14.6

16.3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