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이젠 맛도 색도 우수한 과일을 먹을 수 있다

btn_textview.gif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2022년부터 과수무병묘목생산공급지원사업을 통해 무병묘목을 국내 생산하여 본격적으로 공급 해오고 있다.

 

  올해는 전국의 5대 과종(사과, , 포도, 감귤, 복숭아) 묘목유통량의 약 6.6% 258천 주가 공급되었고, 내년부터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후지후브락스(사과), 샤인머스캣(포도), 신화(), 레드향(감귤) 등을 포함하여 약 10% 39만 주를 공급할 예정이다.

 

  현재 농작물에 알려진 바이러스는 약 1,500여 종으로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주요 작물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 피해로 총생산액의 20% 정도인 약 1조 원의 경제적 손실이 추정된다.

 

  과수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 피해로는 착색 불량, 착과 불량, 중량감소, 당도 감소, 경도 증가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묘목의 생산량은 과종에 따라서 20~30% 줄어들고 당도는 2~5브릭스(Brix)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수 바이러스는 주로 생산과정에서 접목이나 즙액으로 감염되기 때문에 무병묘(Virus-free)*를 사용하는 경우 그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무병묘는 일반적인 자연상태에서는 쉽게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아 15~20년 재배기간 동안 우수한 과실을 생산할 수 있다.

 

   * 무병묘: 열처리, 생장점 배양 등을 통해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만든 건전한 묘목

 

  국립종자원은 지속적인 무병묘 확대·공급을 위해 무병화관리기관*과 함께 바이러스 검정 지원, 무병묘 모수(어미나무) 재배포장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주요 5대 과종 묘목 연간 유통량의 약 40%를 무병묘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 한국농업기술진흥원, 경산·옥천군 농업기술센터, 감귤농협

 

  또한 무병묘 구입 농가의 부담을 줄이고자 5대 과종의 무병묘를 구매할 때 1주당 3천 원을 보조하고 있다.

 

  다년간 무병묘를 사용하여 포도를 생산하고 있는 박재현 대표는 무병묘에서 생산된 포도의 경우 2~3브릭스(Brix) 정도 당도가 높고, 소비자가 입에서 느끼는 맛의 차이는 훨씬 크다라며, “올해에는 무병묘 모수(어미나무)에서 생산한 골드스위트*, 루비스위트*, 샤인머스캣을 유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신품종으로 ’23년부터 본격적으로 무병묘 보급 예정

 

  국립종자원 유병천 종자검정연구센터장은 과수 재배 농가의 무병묘 사용으로 농가는 소득을 높이고, 많은 국민이 고품질의 과일을 맛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과수 재배 농가에서는 무병묘를 사용해달라고 당부하였다.

 

  무병묘 생산구매와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은 국립종자원 종자검정연구센터에 문의(054-912-0232)하면 된다.

 

붙임 1. 무병묘 구매농가 지원사업 홍보 리플릿 1
2. 무병묘 재배농가 박재현 대표의 포장 및 과실 1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