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거리두기 없는 추석 방역의료 대책 발표, 동절기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예방 강화 추진

btn_textview.gif


거리두기 없는 추석 방역의료 대책 발표, 
동절기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예방 강화 추진


◈ ’22년 추석 방역·의료 대책

  - 연휴 기간(9.9.~12일)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검토*

  - 인원 제한 없이 가족 간 모임이나 방문 가능

  - 연휴 기간(9.9.~12일) 취약지 보건소에서 먹는 치료제 처방 가능

  - 요양병원·시설에서는 접촉 면회 금지

  - 고속도로 휴게소 임시선별검사소(9개소)에서 무료로 PCR 검사 가능

    * 국토부에서 별도 보도자료 배포 예정

◈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 기본방향 

  - 2가백신에 대한 국내·외 개발 및 허가동향, 항체가, 안전성 연구결과 등을 고려하여 수립

  - 동절기 추가접종은 백신의 감염예방효과를 활용하여 유행 억제에 초점

  - 감염취약시설, 면역저하자, 고령층 등 건강 취약계층 중심 우선 접종  

  - 최종 접종일 또는 확진일 기준 4~6개월 이후 접종 권고

◈ 스카이코비원(국산) 백신 기초접종 사전예약, 9월 1일(목)부터 시작

  -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의 기초접종(1차-2차)에 활용

    * 국내 1호 코로나19 백신으로 유전자재조합 방식으로 제조

◈ 해외입국 검사정책 개편, 입국 전 검사 중단

  - 9월 3일부터 입국 전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의무 중단

  - 입국 후 1일차 PCR 검사는 확진자 조기발견 및 변이감시를 위해 현행유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한덕수)는 오늘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이기일)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22년 추석 방역·의료 대책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 기본방향 ▲스카이코비원(SKB社) 백신 접종계획 ▲해외 입국 검사정책 개선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22년 추석 방역·의료 대책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부터 ’22년 추석 방역·의료대책’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금년 추석은 거리두기·모임 인원 제한을 미적용하는 첫 명절로, 확진자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전파력이 강한 BA.5 변이 확산, 시간 경과에 따른 예방접종 효과 감소 등으로 추석 연휴 기간에도 지속 관찰이 필요하고, 코로나 감염에 주의토록 당부가 필요한 시점이다.

 ○ 이에 따라, 금년 추석은 거리두기 및 모임 인원 제한이 없고, 일반의료체계가 중심이 되는 상황에서, 국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한 명절을 지낼 수 있도록, 고향 및 친지 방문 간 준수해야 할 일상방역수칙과 연휴 간 코로나19 의료이용 정보를 안내한다. 

<1> 우리 가족을 보호하는 일상방역수칙 안내

□ 이번 추석 연휴는 가족 간 만남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증상이 있으면 스스로 조심하고, 고연령층·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포함하는 만남이나, 친족 모임은 소규모로 짧게 가질 것을 권고드린다. 

 ○ 특히,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고령의 부모님께서 미접종 또는 1차 접종자인 경우에는 방문을 자제하고, 고연령층·기저질환자가 포함된 만남 시에는 집 안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며,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할 것을 요청드린다.

 ○ 또한, 비대면 안부 전하기 및 온라인 추모·성묘(www.15774129.go.kr)  적극 이용하고, 차례 등 제례 참석인원을 최소화할 것을 당부드린다.

□ 명절 연휴 기간 고향 출발 전부터, 일상으로 복귀할 때까지 핵심방역 수칙 준수를 권고드린다.

 ○ 고향 출발 전에는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으면 미리 진료받고, 방문을 미루도록 하고, 예방접종 권고안에 따라 미리 예방접종 마칠 것을 당부드리며, 대중교통 이용 시에는 실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음식섭취는 자제할 것을 요청드린다.

 ○ 어르신들과 만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준수하면서, 일터 복귀 전 코로나19 증상이 있으면 미리 진료받고, 음성인 경우에도 증상이 있으면 타인 접촉을 최소화할 것을 요청드린다.

<2> 연휴기간 다중이용시설 방역조치 안내

□ 추석 연휴 기간 다수 국민들께서 이용하실 것으로 보이는 밀집예측시설에 대해서는 시설 이용 제한은 최소화하되, 국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철저한 방역 점검 및 관리를 시행할 계획이다. 

□ 공항 및 교통시설과 관련해, 공항에서는 터미널 내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검역 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 이용 안내 및 대기열 관리 등을 위한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버스·철도 등에서는 운행 전 소독 실시 및 주기적 환기 및 실내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안내할 계획이다.

 ○ 해외입국자의 경우, 입국 전 코로나19 진단·검사는 면제(9.3~)하되, 입국 후 1일 이내 반드시 PCR 검사를 받도록 하며, 코로나19 검사센터를 운영*하여 출입국 여객 대상 코로나 검사 및 음성확인서 발급 등 편의를 제공한다.

    * 인천공항 총 4개소(T1 2개소·T2 2개소), 김해·제주공항 각 1개소 운영

 ○ 추석 연휴 기간, 전국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모든 차량의 통행료 면제 방안을 검토 중이며, 휴게소·버스·철도 내에서는 실내 취식을 허용하되, 혼잡 정보 안내 및 주기적 소독·환기 실시하고, 실내 마스크 필수 착용 등을 안내방송 등 통해 상시 안내할 예정이다. 

□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는 감염차단을 위한 종사자 선제검사 실시 및 입소자 접촉면회 제한을 유지하고, 연휴 기간에도 일반의료체계 및 의료기동반을 활용해 의료지원을 제공한다.

 ○ 연휴 기간에도 종사자 선제검사, (입소자) 비접촉 대면면회 및 외출·외박 제한 등 현행 방역수칙을 유지한다. 

 ○ 종사자는 출근 전날 자택에서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고, 출근 후 1회 추가 실시하는 등 선제검사를 강화하며, 추석 전·후 입소자·종사자 대상으로 1일 2회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을 확인한다.

 ○ 한편, 요양시설-지자체-의료기관 간 비상연락망을 구축하고, 연휴기간동안 운영가능한 의료기동전담반 및 원스톱진료기관 등을 통해 의료지원을 계속한다. 

□ 전통시장 및 백화점에서는 정부-지자체-업계 간 합동 방역점검 및 비상대응연락체계를 운영하고, 방역관리자를 지정해 방문객 및 종사자 방역수칙 준수사항을 상시 안내한다.

 ○ 전통시장은 상인회, 중기부 지방청, 소상공인진흥공단 지역센터를 활용해 시장 점포 내 환기 소독 등 자체 방역 점검을 강화하고, 백화점·마트는 업계-지자체-정부 간 합동 현장점검과 비상연락체계를 운영한다.
□ 공연·여가시설은 공연·전시 주최 측을 통해 의무 방역수칙 외 감염 예방 조치를 권고하는 한편, 온·오프라인 방역수칙을 게시하고, 주기적 환기·소독 등 방역수칙을 안내할 계획이다.

<3> 추석 연휴 코로나19 의료이용 안내

① 코로나19 진단·검사 시 의료이용

□연휴 기간 동안 선별진료소를 전국에서 603개소(보건소 260, 의료기관 343) 운영할 예정이며, 응급의료포털(e-gen.or.kr), 네이버·다음* 등에서 운영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 네이버·다음에서 ‘선별진료소’ 또는 ‘임시선별검사소’ 검색

 ○ 특히, 연휴 기간 동안 추가적으로 운영하는 교통 요충지역 임시선별검사소(고속도로 휴게소 9개소)*를 방문하면, PCR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경기 4개소(안성 : 경부 서울방향 / 이천 : 중부 하남방향 / ·화성 : 서해안 서울방향 / 용인 : 영동 인천방향), 전남 4개소(백양사 : 호남 순천방향 / 함평천지 : 서해안 목포방향 / 보성녹차 : 남해 목포방향 / 섬진강 : 남해 순천방향), 경남 1개소(통도사 : 경부 부산방향)

□ 현재 자가진단키트는 모든 편의점에서 한시적으로 판매 허용 중(~9.30)*으로, 연휴 기간에 영업하는 편의점·약국 및 온라인 등에서도 구입 가능하다.

    * GS25, CU, 7-Eleven, 이마트24, 미니스톱, 씨스페이스24, 스토리웨이

   ** GS25, CU, 7-Eleven은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고 현황 제공

② 코로나 확진(재택치료) 시 의료이용 

□ 코로나 확진자가 재택치료 시, 의료상담 및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의료상담센터와 행정안내센터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중단 없이 운영한다. 

 ○ 증상 상담이 가능한 의료상담센터는 연휴기간 148개소 이상 운영하고, 일자별 개소기관 현황 및 운영시간은 온라인 안내*를 실시한다.

    * 코로나19 홈페이지(ncov.mohw.go.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www.hira.or.kr) 안내
 ○ 연휴 중 행정안내센터 및 재택치료전담반 등을 통해서는 재택치료자의 생활지원 사항과 연휴 기간 개소하는 당번 의료기관과 약국 등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 행정안내센터·의료상담센터 연락처는 재택치료 시 안내문자로도 발송하며, 행정안내센터 정보는 각 시도, 시군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

□ 연휴 기간에도 진단검사부터 치료제 처방이 차질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스톱 진료기관*을 5,300개소(누적)** 이상 운영하고,

    * 코로나19 검사, 먹는 치료제 처방, 확진자대면진료까지 통합 수행하는 호흡기환자진료센터

    ** (8.30 기준) 9.9(금) 1,585개소, 9.10(토) 643개소, 9.11(일) 830개소, 9.12(월) 2,315개소

 ○ 연휴 운영하는 원스톱 진료기관과 가까운 먹는 치료제 담당약국을 연휴 당번약국*으로 연계 운영할 계획이다.

    * 연휴기간 시·군·구별 1개소 이상을 원스톱 진료기관 인근 약국으로 지정·운영

 ○ 다만, 연휴 운영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가까운 보건소를 통해 연휴 기간 한시적으로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 시·군·구 홈페이지를 통해 보건소 내 먹는 치료제 처방 가능 여부 확인 가능

 ○ 한편, 감기약의 경우 연휴 운영 중인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며, 안전상비의약품에 해당하는 일부 감기약과 해열진통제 등은 24시 편의점에서 판매한다.

    * 연휴 기간 운영 약국 정보는 응급의료포털(e-gen.or.kr)에서 확인 가능

□ 재택치료 중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원스톱진료기관 문진 후 전원 의뢰 또는 보건소·의료상담센터에 연락하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연휴 기간에도 입원으로 연계될 수 있다.

 ○ 고열·호흡곤란 등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관내 119에 연락하면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을 통해 응급실 진료를 받을 수 있으며, 필요 시 입원 병상배정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시도 응급대응협의체(응급의료기관-시도소방본부-보건소) 비상 핫라인 구축·운영 중

□ 소아·분만·투석 등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시·도별 특수병상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특수병상 가동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 연휴 기간 중 소아·분만·투석 관련 입원 가능 병원 조사 및 대응체계 마련 중(~8.31)

 ○ 각 시·도별로 연휴기간 병원 운영현황을 요일별로 파악하고, 소아·분만·투석 환자가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 확보 병상을 활용하여 병상을 배정하는 등 특수치료 병상 가동체계를 유지한다.

    * 일반 진료·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가까운 일반병원 이용 안내, 중중·응급 환자는 거점전담병원 등 지정병원의 병상으로 배정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올해 추석에는 국민들이 편안하고, 안전한 추석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일상방역수칙 준수를 생활화하면서, 고향방문 전후로 증상이 있으면 코로나 진단 검사 및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2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 기본방향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 청장)으로부터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 기본방향’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이번 접종계획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2가백신에 대한 국내·외 허가동향 및 공급일정, 2가백신의 항체가 등 연구결과, 향후 유행상황 예측 등을 폭넓게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 코로나19 백신분야 전문가 자문회의(7월 26일, 8월 24일) 및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8월 29일)

 ○ 접종계획 수립의 근거와 세부적인 방향은 다음과 같다.

? 2가백신 개발 및 허가동향  

<2가백신 허가동향> 

구분

국외

국내

BA.1

모더나

영국, 사용승인 (8.15)

EU, 허가신청(7.1)

미국, 허가신청(6.25)

그 외 스위스, 싱가포르, 대만, 일본, 호주, 캐나다 등 허가신청

사전검토 신청 (7.20)

품목허가 신청 (7.29)

화이자

EU, 허가신청(7.19)

미국, 허가신청(8.4)

사전검토 신청 (8.5)

품목허가 신청 (8.29)

BA.4
BA.5

모더나

미국, 긴급사용승인 신청(8.23)

미정

화이자*

미국, 긴급사용승인 신청(8.22)

미정

□ 화이자와 모더나는 2개의 균주(오미크론 변이 BA.1과 BA.4/5)를 활용해 백신을 각각 개발하고 있으며, 이 중 모더나의 BA.1 기반 2가백신과 화이자의 BA.4 및 BA.5 기반 2가백신에 대한 최근 국외 동향은 다음과 같다.

    * 2가백신: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BA.1(BA.1 기반 2가 백신) 또는 BA.4 및 BA.5(BA.4 및 BA.5 기반 2가백신) 변이 바이러스 각각의 항원을 발현하는 mRNA를 주성분으로 하는 백신

 ○ 영국은 지난 8월 15일 모더나의 BA.1 기반 2가백신을 성인용 추가접종에 사용하도록 승인하였다. 영국 외 호주와 캐나다, EU 등의 국가에도 허가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 미국은 화이자와 모더나로부터 BA.4 및 BA.5 기반 2가백신에 대한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받았으며, 현재 심사를 진행 중이다.(화이자 8.22일, 모더나 8.23일)

? 2가백신 관련 연구결과 (항체가, 안전성 등)  

□ 개발 또는 허가절차가 진행 중에 있는 4종의 2가백신 중, 모더나의 BA.1 기반 2가백신과 화이자의 BA.4 및 BA.5 기반 2가백신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모더나의 2가백신 중 오미크론 변이 BA.1 기반 mRNA 백신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 (효과성) 임상자료에 따르면, BA.1 기반 2가백신은 기존백신 대비 초기주에는 1.22배, BA.1에는 1.75배 더 높은 중화능을 보였으며, 

구분

기존백신

2가백신

GMT Ratio

초기주(D614G)

5,649

5,977

1.22

오미크론/BA.1

1,473

2,372

1.75

 
   - 기존백신에 비해 BA.4/BA.5에서 1.69배 높은 중화능이 확인되었다.

 

구분

기존백신

2가백신

GMT Ratio

추가접종 전

139.68

115.59

-

4주 후

458.28

776.45

1.69

 

 ○ (안전성)  BA.1 기반 2가백신 접종 시 기본 백신 대비 증상 유형은 유사하나 발생 빈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국소 이상반응으로 통증 77%, 발적 7%, 겨드랑이 부기 17% 등이 확인되었고, 전신 이상반응으로 열 4%, 두통 44%, 피로감 55%, 근육통 40%, 관절통 31%, 메스꺼움·구토 10%, 오한 24% 등이 확인되었다.

  *  그림 : 본문 참조

□ 화이자의 2가백신 중 오미크론 하위변이 BA.4 및 BA.5 기반 mRNA 백신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 (효과성) 전임상 동물실험(마우스) 결과, 초기주 기반의 기존 백신에 비해 BA.4 및 BA.5에 대한 중화능이 약 2.6배 증가하였다. 

 

구분

초기주

BA.1

BA.2

BA.2.12.1

BA.4/5

기존 백신

9870

2075

872

951

800

BA.4/5 기반 2가백신

5869

2075

2691

3200

2075 (2.6)

 

□ 그 외 모더나와 화이자 BA.5 기반 백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충분하지 않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백신 동향을 파악할 계획이다.

? ‘22-’23년 동절기 접종계획 기본방향  

□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은 앞선 국내·외 2가백신 개발·허가동향, 백신효과 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으며, 세부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접종명칭) 향후 접종은 기존 차수 중심의 접종명칭에서 시기 중심의 접종명칭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따라서 접종의 명명은 <‘22-’23년도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약칭 ‘동절기 추가접종’)>이다.

 ○ (접종목표) 동절기 추가접종은 코로나19로 인한 건강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건강 취약계층 중심의 두터운 보호를 지속하되, 2가백신의 감염 예방효과를 활용하여 ?유행억제를 통한 중증·사망 예방을 도모할 예정이다.

 ○ (접종대상) 18세 이상 성인 대상으로 허용하되, 건강 취약계층 중심으로 우선 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22-’23년 동절기 접종 우선순위(안)>

순서

대상

접종권고수준()

1순위

요양병원·시설 및 그와 유사한 시설 등

면역저하자

고령층 (60세 이상)

권고

2순위

50대 및 기저질환자

보건의료인

권고

집단시설(군 및 입영장병, 교정시설 등)

허용

3순위

18~49세 성인

허용

 

 ○ (접종간격) WHO의 추가접종 가이드라인(‘22.8월)이 마지막 접종 이후 4~6개월인 점을 고려하여 최종 접종일 또는 확진일 기준 4~6개월 이후 접종을 권고한다.

   - 다만, 접종간격은 4차접종 후 효과 감소 등 과학적 근거 및 국외 2가백신 접종동향 등을 참고 후 연구결과·방역상황 등에 따라 향후 변동될 수 있다.

 ○ (접종백신) 개발·허가 일정상, 먼저 도입이 예상되는 BA.1 기반 2가백신부터 접종을 시행하되, 품목허가 진행상황에 따라 BA.4 및 BA.5 기반 백신도 신속 도입하여 접종을 준비할 예정이다.

 ○ (접종시점) BA.1 기반 2가백신이 도입되는 즉시 접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접종기관, 의료인 대상 교육, 실시기준 개정 등의 기반사항을 정비할 계획이다.

□ <‘22~’23년 동절기 코로나19 접종계획>은 ?방역상황, ?유행변이, ?백신효과, ?수급상황, ?BA.4/5 기반 2가백신의 허가·도입상황에 따라 접종계획이 변동될 수 있으며, 

 ○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건강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앞선 변수에 철저히 대비하여, 적기에 접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3  스카이코비원 백신 기초접종 사전예약, 9월 1일(목)부터 시작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 청장)으로부터 ‘스카이코비원(SKB社) 백신 접종계획’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정부는 스카이코비원멀티주 백신(이하, 스카이코비원)이 8월 26일 출하 승인됨에 따라, 오는 9월 1일(목) 0시부터 누리집*을 통해 사전예약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ncvr.kdca.go.kr

 ○ 스카이코비원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한 국내 1호 코로나19 백신으로, 보관(2∼8℃)이 용이하고 다양한 백신제조에 활용되는 유전자재조합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식약처 ‘스카이코비원멀티주 백신’ 품목허가(6월 29일)

 ○ 식약처 허가사항에 따라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의 기초접종(1차·2차)에 활용되며, 사전예약을 통한 접종일은 9월 13일(화)부터 선택할 수 있고, 9월 5일(월)부터 보건소 및 일부 위탁의료기관에서 당일접종도 가능하다. 

    * 9월 5일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예방접종 현황”>“스카이코비원 백신 접종기관” 메뉴에서 확인 가능

□ 정부는 “스카이코비원 백신은 접종 경험이 풍부한 유전자재조합방식으로 제조된 만큼, mRNA 백신의 이상반응 우려로 아직까지 접종을 하지 않은 국민들께서 적극적으로 접종에 참여하시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4 해외입국 검사정책 개편 입국 전 검사 중단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으로부터 ‘해외 입국 검사정책 개선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정부는 9월 3일부터 입국 전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를 중단한다.

 ○ 여름철 재유행이 감소세로 전환되어 해외입국 일상회복 재추진 여건 조성되고, 출입국하는 국민의 불편을 고려하여 입국 전 검사는 중단하며,

  - 입국 후 1일차 PCR 검사는 확진자 조기 발견과 유입 변이의 감시를 위하여 현행대로 유지하고, 모든 입국자가 검사 결과를 신속하게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에 등록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 (8월 주간 확진자) 681,131명(1주) → 852,659(2주) → 893,093명(3주) → 769,552명(4주)

    ** (해외 입국 정책) 접종완료자 격리면제 (4.1∼) → 신속항원검사 병행인정(5.23∼) → 6·7일차 검사중단(6.1∼) → 입국객 전수 격리면제 (6.8∼)

□ 금번 정책 개편은 오미크론 유행 이후 국내 중증화율·치명률이 지속 감소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등 일률적인 확산 억제보다는 고위험군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는 국내 방역 기조를 바탕으로,

 ○ 꾸준히 증가 추세인 해외입국객이 확진 시 현지 체류에 따르는 어려움 및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해외 국가에서 검사관리가 부실해진 점 등을 감안하여 전문가 의견 수렴 및 관계부처 논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 (전연령 치명률) 1.56%(21.11월) → 0.33%(22.1월) → 0.07%(22.5월) → 0.03%(22.7월)

    ** (입국객) 394천명(4월) → 546천명(5월) → 720천명(6월) → 938천명(7월) → 1,059천명(8월, 예상)

□ 정부는 이번 해외입국 정책 개편에 따라 사전 검사가 중단되는 만큼, 모든 입국자는 입국 후 1일 차 검사를 반드시 실시하고, 신속히 큐코드에 등록해주기를 당부하면서, 

 ○ 향후 치명률 높은 WHO 지정 우려 변이가 신규 발생할 경우 입국 전 PCR 검사를 재도입하는 등 입국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방역 대응체계를 신속히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고 Q-code(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개요>


□ Q-code(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9.5.~) 

 ○ (목적) 해외입국자가 검역정보를 입국 전 미리 입력, QR스캔을 통한 검역실시 → 검역소요시간 단축 및 입력정보를 활용한 사후관리 강화

 ○ (내용) △개인정보(여권번호 등), △입국 및 체류 정보(출발국, 항공편, 국내 체류지, 연락처 등), △검역 관련 정보 등 입력 후 QR 발급(또는 인쇄), △입국 후 1일차 검사 등록 

    * Q-code 접속 주소 : https://cov19ent.kdca.go.kr 

< 검역관련 정보 간소화 내용 >

구분

기존

변경(9.5.~)

입국 전 검사(PCR ) 정보

×

건강상태질문서정보

* 그림 : 첨부파일 본문 참조

 


5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8월 30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전일 대비 8병상이 증가한 7,581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8.6%, 준-중증병상 50.4%, 중등증병상 37.9%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15.5%이다. 

< 8.30. 17시 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무증상·경증(輕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생활치료센터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가동률)

가용

(증감)

전국

1,848

713

1,135

3,240

1,633

1,607

2,377

900

1,477

116

18

98

(+8)

(38.6)

(+76)

(+0)

(50.4)

(+48)

(+0)

(37.9)

(+44)

(+0)

(15.5)

(+0)

수도권

1,245

456

789

2,124

1,182

942

1,040

393

647

116

18

98

(+0)

(36.6)

(+40)

(+0)

(55.6)

(+40)

(+0)

(37.8)

(+3)

(+0)

(15.5)

(+0)

 

중수본

-

-

-

-

-

-

-

-

-

116

18

98

서울

264

131

133

456

276

180

268

76

192

0

0

0

경기

623

224

399

1,088

636

452

421

176

245

0

0

0

인천

358

101

257

580

270

310

351

141

210

0

0

0

비수도권

603

257

346

1,116

451

665

1,337

507

830

0

0

0

(+8)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