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보건복지부]김강립 제1차관,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에서 WHO 중심적 역할 유지를 위한 회원국 성찰과 협력 강조

btn_textview.gif

김강립 제1차관, 세계보건기구(WHO) 집행이사회에서
WHO 중심적 역할 유지를 위한 회원국 성찰과 협력 강조
- 김강립 보건복지부 제1차관, 제5차 WHO 집행이사회 특별회기 참석 (10.5-6) -
- 세계보건총회 결의안(WHA73.1)의 이행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 등 언급 -
□ 김강립 보건복지부 제1차관(WHO 집행이사)은 10월 5일(월)~6일(화) 개최된 제5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집행이사회 특별회기*에 화상으로 참석하였다.
     * 정규 집행이사회와 달리 보건 관련 특별한 논의사항이 있을 때 열리는 회의로서, 34개 집행이사국 및 비집행이사국, 참관국(옵서버) 등이 참석
 ○ 이번 제5차 WHO 집행이사회 특별회기는 화상회의와 스위스 제네바 현장 회의가 동시에 열리는 혼합형(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되며, 제73차 세계보건총회(‘20.5.18)에서 채택된 코로나19 대응 결의안(WHA73.1) 이행 현황에 대한 사무총장 보고와 WHO 독립검토위원회** 운영 현황에 대한 공동위원장 보고 등이 진행된다.
     * 화상회의를 기반으로 하나, 제네바 현장 참석이 가능한 회원국은 제네바에서도 참여 가능
    ** WHO와 회원국의 코로나19 대응을 독립적·중립적·포괄적으로 평가할 것을 제안한 코로나19 대응 결의안(WHA 73.1)에 따라 감염병 대비 및 대응을 위한 독립검토위원회(Independent panel for Pandemic Preparedness and Response, IPPR) 구성
□ 이번 집행이사회 특별회기는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에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의 코로나19 대응 결의안(WHA73.1) 이행 현황에 대한 중간보고서 발표로 시작되었다.
 ○ 테드로스 사무총장은 발표를 통해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WHO와 국제사회의 협력, 회원국의 국제보건규칙(IHR,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이행 지원 및 백신·치료제 개발 노력 등을 소개하였다.

□ 김강립 제1차관은 집행이사 연설에서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형(팬데믹, pandemic) 대응에 있어 WHO의 중심적 역할 유지를 위해서는, WHO의 지도력(리더십)에 의문이 제기되는 현 상황에 대해 모든 회원국이 명확히 인식하고, 결의안의 구체적 이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또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진단기기의 개발 이후에도 공평한 보급이 중요하다고 발언하면서, “최근 WHO 긴급사용목록(EUL, Emergency Use Listing)에 등재된 한국 기업의 항원 방식 신속진단기기가, 진단검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접근을 보장해 줄 하나의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 한편 국제보건규칙(IHR) 개정 논의 과정에서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선언 체제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국제보건규칙에 감염병 위기 시에도 일정한 인도적·경제적 목적의 필수적 인적교류를 보장하는 방안을 포함하는 논의 역시 심도 있게 이루어지길 희망한다고 발언하였다.
 

□ 그 외에도, 우리 정부는 코로나19를 포함한 글로벌 감염병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 대응을 주도하기 위해 지난 5월 세계보건총회 계기 출범한 글로벌 감염병 대응 협력 지지그룹(G4IDR, Support Group for Global Infectious Disease Response) 회원국*을 대표하여, 공동  발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 우리나라, 싱가포르, 터키, UAE, 모로코, 케냐, 멕시코, 페루 8개국으로 구성된 핵심그룹(core-members)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여타 관심 있는 국가들도 참여할 수 있는 개방된 형태로 운영
 ○ 우리 측은 이번 발언을 통해서 향후 동 그룹이 국제보건규칙 개선을 비롯한 국제 보건 시스템 강화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유관 주제에 대한 경험 공유 등을 지속함으로써 감염병 대응 협력 모범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플랫폼, platform)으로 발전해나갈 것임을 강조할 계획이다.
□ 김강립 제1차관은 “이번 WHO 집행이사회 특별회기에서, 코로나19 대응 결의안의 이행을 위한 WHO 및 국제사회의 노력과, 앞으로 WHO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회원국의 고민을 확인하였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