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설명자료)우리 정부는 청정전원선언을 이행할 것임. 다만, 동 선언 지지가 2030년대까지 석탄 폐지를 약속한…

btn_textview.gif

1. 기사내용
 

정부가 26회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지지한 선언을 이행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입장
 

우리 정부는 COP26에서 다음과 같이 2050 탄소중립과 석탄감축 정책을 발표(11.2)하였음
 

2050 탄소중립을 법제화, 한국도 세계적인 석탄감축 노력에 동참
 

- 2050년까지 모든 석탄발전 폐지
 

- 해외 석탄발전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 중단
 

탈석탄동맹(PPCA) 가입조건30년까지 석탄발전설비 전부폐지하는 것인데,
 

* 탈석탄동맹은 OECD 38개국 중 9개국(, , , , 스위스, 멕시코, 뉴질랜드, 캐나다, 덴마크)이 참여 중이고, 아시아는 싱가포르가 유일하게 참여(‘21.11)
 

ㅇ 우리의 경우 30년 석탄발전 중단이 불가하기 때문에 탈석탄동맹에는 가입하지 않았음
 

영국은 석탄감축 정책에 대한 전세계 공감대 확산을 위해 탈석탄동맹과 별도 석탄에서 청정전원으로의 전환 선언(Global Coal to Clean Power Transition Statement)추진하였고,
 

청정전원선언은 세계적으로 2030년대(또는 이후 가능한 빨리) 석탄발전에서 청정전원 달성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의 확대 조치들을 약속한 것
 

우리 정부는 금번 선언의 주요 내용이 2050년 탄소중립·석탄발전 폐지 및 해외 석탄 금융지원 중단 정책과 부합하여 선언동참하게 된 것임
 

ㅇ 아울러, 청정전원선언에는 선언의 이행내용 및 시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
We commit to actions to rapidly scale up technologies and policies in this decade to achieve a transition away from unabated coal power generation in the 2030s (or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 for major economies and in the 2040s (or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 globally
 

* 2030, 40년대라는 구체적 시점 또는 그 이후 가능한 한 빨리(or as soon as possible thereafter)‘라는 유보 조항 포함
 

정부는 2050년 탈석탄을 위해서 지금 추진 중인 석탄감축 조치들을 성실히 이행할 것이며, 해외 석탄 감축, 개발도상국의 재생에너지 확대 등에 대한 지원계속 지원할 것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