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방부]6·25 전사자 발굴유해, 고(故) 문장춘 일병으로 154번째 신원확인

btn_textview.gif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 2013년 9월 25일 강원도 양구 월운리 수리봉 일대에서 육군 제 21사단 장병에 의해 발굴된 유해를 고(故) 문장춘 일병으로 신원확인하였습니다. 고 문장춘 일병의 신원확인은 2000년 4월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뜬 후 154번째입니다.

ㅇ 이번 신원확인은 딸인 문경숙(70세)씨가 2011년 6월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고 신원확인이 되기를 기다리던 중, 2013년에 발굴된 유해와 고 문장춘 일병 딸의 유전자를 최신 유전자 분석기법으로 다시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통해 부녀관계를 확인하면서 이루어졌습니다.

□ 고 문장춘 일병은 미 2사단 카투사(추정)로 배속되어 6․25전쟁에 참전했으며, 피의 능선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ㅇ 고인이 발굴된 양구 수리봉 일대에서 발생했던 피의 능선 전투(1951. 8. 18. ~ 9. 5.)는 미 제2사단 9연대와 국군 제5사단 35·36연대가 북한군이 점령했던 양구 방산면 일대의 고지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투입니다.

ㅇ 이 교전에서 1차 전투는(8.18.∼8.27) 국군 5사단 36연대가 미 2사단에 배속되어 공격을 개시한지 5일만에 고지를 점령했고, 2차 전투(8.28.∼9.5) 기간에는 백석산과 대우산 간의 측방도로를 확보함으로써 다른 양상이 없이 전투를 종결시키는 공을 세웠습니다.

ㅇ 치열한 전장에서 마지막까지 싸우다 전사하신 고 문장춘 일병은 62년이 지나서야 팔·다리 및 갈비뼈 유해 몇 점이 후배 전우들에게 발견되었으며, 현장 유품으로 M1 탄두와 탄피가 함께 발굴되었습니다.

□ 고 문장춘 일병은 1922년 6월 16일 부산 동래구 일대에서 4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습니다.

ㅇ 전사자는 22살이 되던 해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농사일을 하며 가장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그 후, 아내를 만나 가정을 꾸리며 살다가 1950년 8월, 4살인 아들과 뱃속에 있던 딸을 남겨둔 채로 국가를 위해 참전했습니다.

ㅇ 고인의 딸 문경숙(70세)씨는 “유복녀로 태어나 평생 아버지 얼굴도 모르고 살아왔었는데 아버지 유해를 찾았다고 하니 감격스러워서 눈물도 나고 가슴이 떨린다.”라면서 “아버지를 찾아준 국유단 관계자분들에게 너무 감사하고, 다른 유가족분들도 가족을 빨리 찾았으면 좋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유가족들과 협의를 통해 오는 11월 12일(목) 경남 김해에서 귀환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이후 안장식을 치른 뒤 유해를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입니다.

□ 또한, 국방부는 6·25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를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여 마지막 한 분까지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6·25 전사자 유가족 시료채취 문의 : 1577-5625.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