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감염과 중증 예방을 위해 미접종자 접종 참여 당부(3.10., 정례브리핑)

btn_textview.gif

감염과 중증 예방을 위해 미접종자 접종 참여 당부(3.10., 정례브리핑)


- 18세 이상 미접종자는 노바백스 백신으로 예약 또는 당일 접종 가능 -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 현황

(3차접종) 인구 대비 62.2%, 3월 말 접종 간격 도래 대상자 대비 76.8% 완료, 60세 이상 인구 대비 88.6%, 3월 말 대상자 대비 93.7% 완료

(청소년 접종) 13-18182.9%, 279.9%


18세 이상 미접종자,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 참여

(예약접종) 사전예약 진행 중, 예약일로부터 2주 후 접종일 선택 가능

(당일접종) 전체 위탁의료기관(12,900개소) 보유 물량 등을 통해 가능


고위험군 추가(4)접종 실시 안내

(면역저하자) 당일접종·사전예약 가능, 예약 시 예약일로부터 1주 후 접종일 선택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증진시설) 방역상 필요(집단감염 발생우려 )한 경우에 따라 3차접종 완료 3개월 이후부터 자체접종·방문접종 시행 중



1.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 현황


□ (개요) 3월 10일 0시 기준으로 4,488.8만 명(인구 대비 87.5%, 18세 이상 인구 대비 97.1%)이 1차접종을, 4,440.7만 명(인구 대비 86.5%, 18세 이상 인구 대비 96.2%)이 2차접종(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을 완료하였다.


 ○ 3차접종은 총 3,191.9만 명이 받아 인구 대비 62.2%의 접종률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의 88.6%가 3차까지 접종을 완료하였다.


연령별 접종 현황(3.3. 0시 기준)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대상자** 대비

인구대비

(D/A)

51,317,389

44,888,313

44,407,520

31,919,282

87.5

86.5

76.8

62.2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34,144

2,211,217

2,051,001

91.0

90.0

94.0

83.5

70-79

3,883,747

3,745,691

3,726,396

3,535,900

96.4

95.9

95.7

91.0

60-69

7,404,447

7,244,386

7,205,675

6,590,581

97.8

97.3

92.5

89.0

50-59

8,574,374

8,430,483

8,377,031

6,827,118

98.3

97.7

82.8

79.6

40-49

8,035,809

7,718,007

7,639,671

5,170,254

96.0

95.1

69.4

64.3

30-39

6,591,585

6,371,364

6,267,959

3,645,828

96.7

95.1

60.8

55.3

20-29

6,404,726

6,360,648

6,288,238

3,577,208

99.3

98.2

59.1

55.9

12-19

3,732,656

2,783,590

2,691,333

521,392

74.6

72.1

62.4

14.0


(18-19)

(963,728)

(914,593)

(905,025)

(521,392)

(94.9)

(93.9)

(62.4)

(54.1)


(12-17)

(2,768,928)

(1,868,997)

(1,786,308)

(-)

(67.5)

(64.5)

(-)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22.3.31일 기준 연령대별 접종간격 도래자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3차접종) 3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 대상자(4,158만 명) 대비 3차접종률은 76.8%로,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은 대상자 대비 93.7%의 높은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다.


 ○ 연령대별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70대가 95.7%로 가장 높았고, 80대 이상 94.0%, 60대 92.5%, 50대 82.8%, 40대 69.4% 순이었다.


   - 18-59세 연령층의 인구 대비 3차접종률은 64.6%, 3월 말 기준 접종 간격 도래 대상자 대비 3차접종률은 69.1%를 기록하였다.



【주차별 3차접종 인구 및 대상자 대비 접종률(3.10.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 (청소년 기초접종) 13~18세(’21년 기준 12~17세, ’04~’09년생) 청소년은 현재까지 229만 명이 1차접종을 받았으며, 인구 대비 1차접종률은 82.9%, 2차접종률은 79.9%로 집계되었다.


 ○ 고등학생에 해당하는 16~18세는 1차접종률이 90.1%를 기록하였으며, 2차접종률도 88.0%로 높게 나타났다.


   - 중학생에 해당하는 13~15세는 고등학생에 비해서는 접종률이 다소 낮으나, 1차접종률 76.1%, 2차접종률도 72.1%로 높다.



【청소년 주차별 예약률 및 1차·2차접종률 그림 붙임 참고】



□ (성인 미접종자 기초접종) 18세 이상 성인의 접종률은 1차·2차 모두 96%를 초과(1차 97.1%, 2차 96.2%)하여 매우 높은 상황이다.


 ○ 최근 1주간(3.3.~3.9.) 1차접종은 1.9만 명, 2차접종은 2.0만 명이 신규로 참여하였고, 18세 이상 성인 1차접종자 중 82%인 1.5만 명이 노바백스 백신으로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 특히,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2.14.~3.9.) 1차 6.2만 명, 2차 0.9만 명이 노바백스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완료하였다.



2. 18세 이상 미접종자,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 참여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를 대상으로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기초접종) 노바백스 백신 접종은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 등을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3월 7일(월)부터 사전예약에 따른 접종이 진행 중이다.


     * 예약일 2주 이전 날짜로는 접종일 선택 불가(예: 3.10일 예약 → 3.24일 이후 선택 가능)


   - 또한, 예약접종이 시작된 이후에도 위탁의료기관(약 12,900개소)의 보유 물량 등을 통해 당일접종이 가능하여 접종을 희망하는 사람이 사전예약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접종받을 수 있다.


   - 아울러, 고위험군* 중 미접종자가 소속된 병원, 시설 또는 지자체 개별 일정에 따라 자체접종 및 방문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및 ?재가노인·재가중증장애인 등 거동불편자


 ○ (교차접종·3차접종) 노바백스 외의 백신으로 1차접종, 또는 2차접종까지 실시한 경우, 접종 시 의학적 사유(금기·연기 등)가 발생했다면 의사 판단에 따라 노바백스 백신으로 2차 또는 3차접종이 가능하다.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당일접종 방식으로 접종 가능


□ 추진단은 “지역사회 내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낮추고 중증 진행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아직까지 접종하지 않은 분들은 노바백스 백신을 활용하여 접종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3. 고위험군 추가(4)접종 실시 안내


□ 추진단은 확진자 급증에 따른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발생 위험, 3차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접종효과 감소 등을 고려하여 추가(4차)접종 계획을 발표*, 시행하고 있다.


   * 면역저하자 및 요양병원·시설(2.14.), 정신건강증진시설(2.28.)


 ○ (접종대상)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증진시설 대상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3차접종 완료 4개월(120일) 이후부터 mRNA 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다.


   - 특히, 오미크론 변이 확산 따라 최근 해당 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 집단 감염 발생 또는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를 적용하여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접종이 가능하다.


    * 면역저하자 또한 개인 사유에 따라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가능


 ○ (접종방법) 면역저하자는 의사 소견을 확인한 후 사전예약 또는 당일접종 가능하며, 의료기관은 자체접종, 시설은 방문접종(보건소 또는 시설계약의사)으로 접종이 시행된다.


     * 면역저하자 중 3차접종 시 면역저하자로 접종하지 않은 경우 면역저하질환 진료확인서 또는 담당의사의 접종 권고를 포함한 소견서 등 지참 후 접종 가능


 ○ (접종일정) 면역저하자는 당일접종 또는 예약접종*을 통해 접종할 수 있고, 고위험시설은 자체 일정을 수립하여 접종을 실시 중이다.


    * 예약일 1주 이전 날짜로는 접종일 선택 불가(예: 3.10일 예약→3.17일 이후 선택 가능)


□ 추진단은 “고위험군의 면역 형성을 높이고, 집단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을 억제시켜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접종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 (53주차)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53주차, 3.6.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119,147,600건 중 이상반응은 461,547건(53주 신규 신고 1,540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9%이며, 3차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1차와 2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1차 0.54%, 2차 0.41%, 3차 0.16%)이다.


    * 이상반응 신고통계는 출생연도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 (인구집단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예방접종현황의 예방접종 건수와 다름)


   - 신고 사례 중 일반 이상반응은 443,828건(96.2%), 중대한 이상반응은 17,719건(3.8%)이었으며, 


     * 일반 이상반응은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 중대한 이상반응은 중증, 사망, 아나필락시스 및 주요 이상반응


   -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4%(1차 0.75%, 2차 0.28%), 화이자 백신 0.32%(1차 0.41%, 2차 0.36, 3차 0.16%), 모더나 백신 0.46%(1차 0.63%, 2차 0.77%, 3차 0.16%), 얀센 백신 0.59%(1차 0.59%, 2차(부스터) 0.20%)으로, 백신별 3차 접종이 1차와 2차 접종보다 낮았다.


   - 2월 14일 노바백스 백신 접종 시작 이후 노바백스 백신접종 71,413건 중 이상반응은 183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26%이며, 일반 이상반응 175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8건이었다.


   - 18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5,753,913건 중 이상반응은 18,164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2%(일반 이상반응 97.1%, 중대한 이상반응 2.9%)이었다.


□ 또한, 추진단은 노바백스 백신 접종 이후 이상반응에 대한 능동감시(문자설문, 유선설문) 결과를 발표하였다.


 ○ 노바백스 백신 초기접종자*를 대상으로 접종 이후 7일차까지 건강상태 확인 문자를 발송(1,058명 응답)하였고, 교차접종자**를 대상으로 접종 이후 3일, 7일차에 유선 설문조사(607명 응답)를 실시하였다.


     * 1차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한 자

    ** 다른 플랫폼의 백신접종 이후 2∼3차 예방접종을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한 자


 ○ 접종 이후 이상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 피로감, 근육통, 두통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7일 이내 증상이 소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문자설문 결과, 주사부위 통증 35.6% > 피로감 21.6% > 근육통 17.3% > 두통 17.1%

    ** 유선설문 결과, 접종 후 3일 이내 증상이 소멸된 경우는 55.9%, 7일 이내 소멸된 경우는 82.7%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또한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이상반응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반응을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보상신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알림·서식]-[서식]의 신청양식 참조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3.4.)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서은숙 교수)은 현재까지 총 52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발생한 중증 이상반응 등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검토하였다.


 ○ 검토 상정된 총 5,446건(사망 1,505건, 중증 1,622건, 아나필락시스 2,319건) 중 855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848건)이 인과성 인정한 사례, 93건(사망 15건, 중증 78건)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검토되었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는 3천만 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근거가 확보되면 재검토할 예정임   


 ○ 제 52차 회의(3.4.)에서 신규 67건(사망 35건, 중증 17건, 아나필락시스 15건) 및 재심 6건(사망 3건, 중증 3건) 심의하였고, 이중 아나필락시스 7건이 인과성 인정되었으며, 중증 2건(급성심근염)은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검토하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검토 결과(3.4.기준) ]  (단위 : 건)


구분*

누적사례

인과성 검토 결과

인정

불충분

불인정

보류

합계

5,446(67)

855(7)

93(2)

4,488(63)

10(-5)

사망

1,505(35)

21)

15(0)

1,482(38)

6(-3)

중증

1,622(17)

52)

78(2)

1,535(17)

4(-2)

아나필락시스3)

2,319(15)

848(7)

0

1,471(8)

0

*피해조사반 검토 시점 기준으로 분류

누적사례의 ( )52차 회의의 신규사례, 그 외( )52차 회의 검토 결과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인과성 인정 11·불인정 3)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52차 회의(3.4.)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35건의 평균 연령은 62.7세(범위 18~94세)였고, 이 중 27례(77.1%)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7건), 화이자(16건),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2건), 모더나(2건),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교차접종(8건) 이었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17례의 평균 연령은 56.4세(범위 15~85세)였고, 이 중 12례(70.6%)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3.1일(범위: 0.29~110.5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건), 화이자(10건), 모더나(1건),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1건),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교차접종(3건) 이었다. 



6. 22년 제4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는 3월 3일 제4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이하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3,524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가족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 예방접종 이후 발열, 두통, 근육통, 어지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1,170건(33.2%)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사례1) 방접종과 이상반응이 발생한 시기가 일반적인 이상반응 양상과 다름(접종 7일 후 발생하여 30일 이상 지속된 시야장애, 접종 7일 후 발생한 두드러기, 손부종, 가려움증)

(사례2)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고혈압, 고지혈증, 우측후대뇌동맥 경색, 심방세동, 심근병증, 당뇨 등) 인하여 발생한 증상

(사례3) 일과성허혈발작, 급성위장염, 감염성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 다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높음


 ○ 2022년 제4차 보상위원회까지 총 20차에 걸쳐 누계 심의한 건수는 17,316건으로 이 중 보상 결정 건은 6,328건(36.5%)이다.


【2022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심의건수1)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보상구분2)

보상

기각

보류

진료비 및 간병비

장애인

일시보상금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누계

차수

17,316

6,328

10,982

63)

6,328

6,327

-

1

3

4

3,524

1,170

2,352

2

1,170

1,170

-

-

2

3

2,071

656

1,414

1

656

656

-

-

1(2)

2

1,882

661

1,220

1

661

661

-

-

1(1)

1

1,163

403

757

3

403

403

-

-

21년 누계

1~16

8,677

3,438

5,239

0

3,438

3,437

-

1


     1)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의 신청 사례 3,070건, 30만원 미만의 신청 사례 14,246건(보류건 포함)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3) 보류건은 다음 회차에서 다시 심의를 거쳐 보상 여부가 결정되며, 해당 수치는 현재 남은 보류 건수 현황


 ○ 한편, 심의 절차 간소화를 통한 신속한 소액 보상(30만 원 미만)을 위해 시·도지사에 예방접종 피해보상 결정 권한을 위임(1.25.)한 결과 4,106건을 시·도가 심의하여 1,476건(35.9%)에 대하여 보상 결정하였다.


【2022년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지자체 심의 현황】


구분

심의 건수

지자체 심의 결과

보상

기각

누계

4,106

1,476

2,630

2

2,376

878

1,498

1

1,730

598

1,132


□ 아울러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중증 또는 특별 관심 이상반응(경증포함) 발생으로 치료하거나 사망한 경우 중,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인정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또는 사망자에 대한 위로금을 지급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인과성 불충분 지원사업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 또는 특별 관심 이상반응***(경증 포함)이 발생하고,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인과성 근거 불충분(심의기준 -1* 해당)의 결과를 받은 경

* -1 판정기준 :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 유전질환 등이 불명확하고,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 중증 이상반응 : 사망,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 장애 등 발생 경우

*** 특별 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of Special Interest), :WHO가 적극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이상반응, 심근염·심낭염, 길랭-바레증후군, 다형홍반 등 포함

(지원범위) 사망자위로금 5천만원, 의료비(진료비 및 간병비) 3천만원 한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현재(3.9. 기준) 의료비 지원대상은 총 602명(중증 95명, 경증 507명)이며, ’21년 사망자를 포함한 사망자 위로금의 대상자는 16명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53주차)

        4. 국외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보고 현황(53주차)

        5. 인과성 검토 사례의 일반적 특성 및 추정사인/진단명 분포

        6. 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7.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8.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9.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10.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11. 동거인 안내문(가족 간 전파 예방, 건강 관리) 

       12.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13.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4.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5.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6.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7.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18.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19.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20.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1.「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