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6주 연속) (7.19.수)

btn_textview.gif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6주 연속)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7.9.~7.15.)


 ○ 최근 확진자 발생은 3주 연속 증가하고 있으나 ’23.6월 4주차 중증화율, 치명률은 각각 0.13%, 0.03% 수준으로, 주간 치명률이 가장 높았던 ’21.12월 1주 중증화율 3.06%, 치명률 1.72%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22년의 경우 ’22.1월 1주 중증화율 1.68%, 치명률 0.83%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점차 낮아져 ’22.3월 2주부터 치명률 0.10%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아울러, 의료대응 역량도 충분하여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는 26주 연속 ‘낮음’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 향후에도 방역당국은 발생 추세와 우려 변이 출현 여부 등 유행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여 방역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고위험군 보호 등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7.9.∼7.15.)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7월 1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17명, 일평균 사망자는 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107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7.9.

7.10.

7.11.

7.12.

7.13.

7.14.

7.15.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111

117

123

112

126

124

142

122

-

사망자*

2

2

6

10

13

4

6

6

43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1.0%, 70대가 24.4%, 60대가 12.2%로, 50대 이하 2.4%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41

(100.0)

35,107

(100.0)

0.11

117

(100.0)

성별

남성

30

(73.2)

17,317

(49.3)

0.12

74

(63.2)

여성

11

(26.8)

17,790

(50.7)

0.10

43

(36.8)

연령

80세 이상

25

(61.0)

20,938

(59.6)

1.85

42

(35.9)

70-79

10

(24.4)

7,967

(22.7)

0.43

31

(26.4)

60-69

5

(12.2)

3,987

(11.4)

0.11

27

(23.0)

50-59

1

(2.4)

1,433

(4.1)

0.03

10

(8.6)

40-49

0

(0.0)

478

(1.4)

0.01

2

(1.8)

30-39

0

(0.0)

163

(0.5)

0.01

4

(3.4)

20-29

0

(0.0)

80

(0.2)

0.01

1

(0.9)

10-19

0

(0.0)

23

(0.1)

0.01

0

(0.0)

0-9

0

(0.0)

38

(0.1)

0.01

0

(0.0)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7. 9.∼7. 15.)  



 [ 1. 주간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7월 2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위중증 발생지표는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나, 추정 주간 치명률은 감소하여 사망자는 전주와 유사한 수준 및 병상가동률의 안정적인 상황을 고려하였다.



<7월 2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

’22.11

’22.12

’23.1

’23.2

’23.3

’23.4

’23.5

’23.6

’23.7

1-3

(10.2.~)

4

(10.23.~)

1-5

(10.30.~)

1-4

(12.4.~)

1-2

(1.1.~)

3-4

(1.15.~)

1-4

(1.29.~)

1-5

(2.26.~)

1-4

(4.2.~)

1-5

(4.30.~)

1-4

(6.5.~)

1

(7.2.~)

2

(7.9.~)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2.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4.3% 증가하여 일평균 122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4.9% 증가(41명→43명)하였고 일평균은 6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6월 3주) 116명 →(6월 4주) 110명 →(7월 1주) 117명→(7월 2주) 122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6월3주) 8명→ (6월4주) 8명→ (7월1주) 6명→ (7월2주) 6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08.6명(89.3%),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5명(90.7%)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15명(94.3%),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5.8명(95.3%)



  6월 4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3%, 치명률은 0.03%이었다.





  ’23년 7월 15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8.1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4.3명(치명률 1.84%)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4.7명(치명률 0.43%), 60대는 55.7명(치명률 0.11%)이었다.



[ 3. 확진자 및 발생추이 ]


  7월 2주(7.9.~7.15.) 주간 신규 확진자는 186,953명으로 전주 대비 22.2% 증가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26,708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16이며, 최근 3주 연속 1이상으로 증가하였다.

    * 주간 누적: (6월3주) 11.2만명→ (6월4주) 12.2만명→ (7월1주) 15.2만명→ (7월2주) 18.6만명  

  ** 일 평균: (6월3주) 16,025명→ (6월4주) 17,442명→ (7월1주) 21,857명→ (7월2주) 26,708명 



구분

54

(5.21.~5.27.)

55

(5.28.~6.3.)

61

(6.4.~6.10.)

62

(6.11.~6.17.)

63

(6.18.~6.24.)

64

(6.25.~7.1.)

71

(7.2.~7.8.)

72

(7.9.~7.15.)

확진자수()

122,709

119,561

117,200

113,141

112,176

122,091

152,996

186,953

일 평균 확진자()

17,530

17,080

16,743

16,163

16,025

17,442

21,857

26,708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34.1

33.2

32.5

31.4

31.2

33.9

42.5

51.9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9

1.0

1.0

1.0

1.0

1.1

1.3

1.2

감염재생산지수(Rt)

0.95

1.02

0.98

0.98

1.03

1.12

1.12

1.16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증가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92.8명), 30-39세(59.0명), 70-79세(55.9명) 순으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증가, 비중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6.3주) 31,160→ (6.4주) 32,739→ (7.1주) 39,125→ (7.2주) 47,115

   ** 60세 이상 비중(%): (6.3주) 27.8→ (6.4주) 26.8→ (7.1주) 25.6→ (7.2주) 25.2


구분

64

71

72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22,091

(100.0)

33.9

152,996

(100.0)

42.5

186,953

(100.0)

51.9

32,570,956

(100.0)

63,320

성별

남성

52,868

(43.3)

29.5

66,266

(43.3)

36.9

81,914

(43.8)

45.6

15,020,564

(46.1)

58,590

여성

69,223

(56.7)

38.3

86,730

(56.7)

48.0

105,039

(56.2)

58.2

17,550,392

(53.9)

68,019

연령별

0-9

6,149

(5.0)

24.9

7,226

(4.7)

29.2

8,088

(4.3)

32.7

3,190,424

(9.8)

90,313

10-19

15,456

(12.7)

46.9

20,583

(13.5)

62.5

30,551

(16.3)

92.8

4,047,991

(12.4)

86,069

20-29

15,958

(13.1)

35.5

21,080

(13.8)

46.9

24,200

(12.9)

53.9

4,732,907

(14.5)

73,754

30-39

18,683

(15.3)

40.3

23,477

(15.3)

50.7

27,327

(14.6)

59.0

4,783,153

(14.7)

72,302

40-49

17,549

(14.4)

31.1

22,000

(14.4)

38.9

26,512

(14.2)

46.9

4,944,893

(15.2)

61,251

50-59

15,557

(12.7)

25.8

19,505

(12.7)

32.4

23,160

(12.4)

38.4

4,252,857

(13.1)

49,383

60-69

16,779

(13.7)

32.4

20,142

(13.2)

38.9

23,973

(12.8)

46.3

3,605,314

(11.1)

48,697

70-79

10,202

(8.4)

38.1

12,223

(8.0)

45.6

14,960

(8.0)

55.9

1,872,114

(5.7)

48,935

80세이상

5,758

(4.7)

36.5

6,760

(4.4)

42.8

8,182

(4.4)

51.8

1,141,303

(3.5)

50,588



[ 4.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나, 30%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7.1주 → 7.2주): (전국) 21.2% → 28.2%, (수도권) 21.5% → 27.1%, (비수도권) 20.9% → 29.5%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7.1주 → 7.2주): (전국) 37.0% → 34.7%, (수도권) 36.7% → 34.8%, (비수도권) 37.3% → 34.6%



[ 5. 변이 바이러스 ]


 XBB.1.9.1의 검출률은 25.9%(+0.7%p)로 최근 8주간 20%대 중반 유지, XBB.1.9.2와 XBB.2.3은 24.7%(+0.6%p)과 16.1%(+0.6%p)로 지속 증가추세로, 

 - 다양한 XBB 세부계통이 확인되는 상황이며 검출률이 급증하는 별도의 XBB 세부계통은 보이지 않고 있다. 



【 국내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7.15.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

XBB.1.5

XBB.1.9.1

XBB.1.9.2

XBB.1.16

XBB.2.3

XBB*

기타

전체

63

10.8

26.9

23.5

17.6

12.2

5.2

3.8

64

10.3

24.5

21.6

20.8

14.1

5.2

3.5

71

8.2

25.2

24.1

19.7

15.5

4.0

3.3

72

6.6

25.9

24.7

18.7

16.1

5.5

2.5

국내감염

63

11.1

27.3

23.3

17.6

12.3

4.4

4.0

64

10.1

24.8

21.5

20.5

14.3

5.3

3.5

71

8.3

25.1

24.2

19.4

15.7

3.7

3.6

72

6.7

26.2

24.6

18.5

16.1

5.5

2.4

해외유입

63

4.7

18.8

27.1

17.6

10.6

18.8

2.4

64

14.3

16.3

24.5

28.6

10.2

2.0

4.1

71

3.6

25.9

20.4

27.8

9.3

13.0

0.0

72

0.0

12.5

31.3

28.1

15.6

9.4

3.1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7월 18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68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8.6%, 준-중증병상 45.8%이다.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273

78

195

395

181

214

(+0)

(+0)

(+0)

(+0)

(+23)

(-23)

수도권

144

34

110

210

94

116

(+0)

(+0)

(+0)

(+0)

(+13)

(-13)


서울

53

12

41

58

32

26

경기

65

17

48

125

58

67

인천

26

5

21

27

4

23

비수도권

129

44

85

185

87

98

(+0)

(+0)

(+0)

(+0)

(+10)

(-10)


강원

10

7

3

14

7

7

충청권

23

12

11

42

25

17

호남권

26

9

17

44

25

19

경북권

36

8

28

30

11

19

경남권

30

7

23

49

18

31

제주

4

1

3

6

1

5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459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873개소가 있다. (7.18.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자율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66개소 운영되고 있다. (7.18. 0시 기준)






 4. '23년 제13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7월11일 제13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514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7명으로 구성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69건(13.4%)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백신으로 인한 일반 이상반응의 발생시기(통상 접종 후 3일이내) 및 지속기간(통상  접종 후 7일이내 완쾌(호전))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지는 경우*

    * 접종 30일 후 발생한 발열, 접종 이후 4개월 간 지속된 근육통


 - (사례2)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우(신부전, 당뇨 등)


 - (사례3) 요로감염, 세균성 장염 등 백신이 아닌 감염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6,192건*, 심의 완료 건수는 89,184건(92.7%)으로, 이 중 사망 17건 포함 총 24,158건(27.1%)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7,384건) 포함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5,288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684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심의건수1)

보상2)


기각

진료비

사망일시보상

장애일시보상

총계

89,184

24,158

24,153

-

-

65,026

보상

위원회

심의

소계

73,896

18,474

18,469

17

0

55,422

신규심의

514

69

69

-

-

445

기존누계

73,382

18,405

18,400

17

-

54,977

·도 자체 심의

15,288

5,684

5,684

-

-

9,604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805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9명이다.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52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46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이 발생하고,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심의기준 ④-1**에 해당하는 경우

  * 관련성 의심 질환: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WHO, EMA, 식약처,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등)에 의해 백신과 관련성이 제기되거나 통계적 연관성이 제시되는 질환

 ** 심의기준 ④-1: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probably not related, unlikely)


- (지원범위) 사망위로금 1억원, 의료비(진료비 및 간병비) 5천만원 한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하고, 부검 결과 ‘사인 불명’ 사례


- (지원범위) 1천만원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2.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7. 9.∼7. 15.)

          3.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4.「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