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특허청]양자정보기술의 시대가 오고 있다.

btn_textview.gif

양자정보기술의 시대가 오고 있다.
- 지식재산 5대 강국(한, 미, 중, EU, 일) 특허출원, 10년간 4배 증가! -

□ 특허청(청장 김용래)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지식재산 선진 5개국(한국, 미국, 중국, 유럽, 일본)에 출원된 양자정보기술 관련 특허는 10년간 총 6,777건으로 조사됐다. 2010년 286건에서 2018년에는 1,219건으로 약 4배 증가했고 연평균 19.9%씩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국가별로 보면, 미국 2,223건(33%), 중국 1,978건(29%), 유럽 1,296건(19%), 일본 665건(10%), 한국 615건(9%) 순으로 미국과 중국에 출원된 건이 전체의 62%를 차지하고 있다.

□ 세부 기술별로는 양자컴퓨팅 2,572건, 양자암호통신 2,711건, 양자센서 1,494건으로 양자컴퓨팅과 보안통신 분야의 출원이 많으며, 특히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이 부각됨에 따라 꿈의 컴퓨터라고 불리는 양자컴퓨팅 관련 출원이 매년 30%이상씩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ㅇ 양자컴퓨팅 분야의 주요 출원인은 IBM(408건, 15.9%), 구글(233건, 9.1%), 노스롭 그루먼(201건, 7.8%), 디웨이브(D-wave)(157건, 6.1%), 마이크로소프트(154건, 5.9%), 인텔(147건, 5.7%) 등으로 전체 출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특히, IBM의 경우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여 이 분야 특허경쟁에 앞서 나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군수기업인 노스롭 그루먼이 가장 많은 출원을 하고 있다.

ㅇ 양자암호통신 분야의 주요 출원인은 도시바(203건, 7.4%), 화웨이(89건, 3.2%), SKT(IDQ)(77건, 2.8%), 알리바바(58건, 2.1%) 등으로 이들 4개 기업이 전체 출원의 15.5%를 차지하고 있다.

- 이들 기업 중 도시바가 미국, 유럽, 일본에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SK텔레콤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다.

ㅇ 양자센서 분야의 경우 아직 전체 출원 건수가 많지는 않으나 파운드리 반도체 선도 기업인 대만의 TSMC(132건, 8.8%)가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 특허청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 강민성 심사관은 “양자정보기술은 가까운 미래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기술이라는 점에서, 세계적 IT 기업들은 이미 이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시작하였다”라고 강조하면서,

ㅇ “특허청에서는 ①관련 특허 동향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산업계에 제공하고, ②전문 심사인력을 추가로 확보하여 고품질의 특허심사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또한 ③이 분야 특허분류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국제적인 논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도 양자정보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