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뿌리산업 범위 10년만에 전면 개편

btn_textview.gif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7.2일(목) 정세균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뿌리4.0 경쟁력강화 마스터플랜」 발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뿌리기술의 범위를 기존 금속소재 중심6대 공정기술*에서 벗어나,

 


*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소재 범위는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등 6개로 늘리고, 뿌리기술사출·프레스, 3D 프린팅, 로봇 등 14개로 확대하고, 뿌리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범정부적으로 지원하기로 함

 


ㅇ 이는 뿌리산업 진흥법 2011년에 제정한 이후, 뿌리기술 범위를 10년만에 전면개편 하는 것임

 



 


< 기본 방향 >

 



 


 


핵심소재 다원화 : 금속 1개 →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탄소, 펄프 등 6개

 


공통기반 뿌리기술 : 주조 등 6개14개

소재 다원화 : 사출?프레스, 3D 프린팅, 정밀가공, 엔지니어링 설계

플랫폼형 기술 : 산업지능형 SW, 로봇, 센서, 산업용 필름 및 지류

 


뿌리산업 대상 : 3만개 → 약 9만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금번 대책은 「뿌리산업법」제정(‘11.7월) 이후 추진된 지난 10년간 뿌리산업 진흥정책의 성과를 점검하고,

4차 산업혁명, 세계적 공급망 재편 등 급변하고 있는 산업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뿌리산업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임

 


뿌리기술은 부품·장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소재를 가공하는 기술로 소재․부품․장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

 


ㅇ 현재는 금속 소재를 활용한 주조, 금형 등 6대 공정기술을 의미

□ 정부는 지난 10년간 뿌리기술 전문기업 지정(1,076개), 특화단지 지정제도(33개), 지역뿌리센터 설치(10개) 등 뿌리산업지원을 위해 약 4,736억원 재정을 투입 (뿌리산업 전용예산 기준)

 


뿌리기업은 현재 약 3만여개로, 생산액의 70%가 자동차․기계 등 주력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출은 증가세(‘12년 16조→‘18년 24조)

 


그러나, 대부분 기업이 영세하여 미래수요기술요구에 맞는 기술혁신 역량이 부족하고, 외부변화 취약으로 매출 변동폭도 큼

 


해외 이전폐업이 증가하며 국내 공급망 안정성위기가 초래되고 있고, 노동집약적 저부가가치 구조로 성장이 정체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