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한 소비효율등급기준 개편안 확정

btn_textview.gif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한 소비효율등급기준 개편안 확정
 


3개 품목(냉장고·에어컨·TV)에 중장기 목표소비효율기준 최초 도입
내년 10월부터 소비효율 기준 상향 조정(냉장고·에어컨·TV 대상)
건물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해 건축 단열 기자재인 창세트 효율기준 강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성윤모)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해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 개편안을 담은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 개정안을 확정하여 1230() 고시한다고 밝혔다.
 


* 에너지소비효율등급 : 보급률이 높고 에너지소비가 큰 기기에 효율등급(1~5등급)표시하는 제도, EU, 미국 등도 의무 제도로 적극 활용 중이며, 우리나라는 ’92년 도입
 


- 소비자들이 등급표시 라벨을 보고 고효율 제품을 손쉽게 확인·구입할 수 있으며, 최저효율기준인 5등급 기준에 미달한 제품의 경우 국내 생산·판매가 금지될 수 있음
 


3개 품목(냉장고·에어컨·TV)에 중장기 목표소비효율기준 최초 도입
 


우선, 냉장고, 에어컨, TV 3개 주요 가전제품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에 중장기 목표소비효율기준을 최초로 도입함으로써 제조사가 동 기준 목표를 감안하여 고효율 제품 개발·생산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간 필요시 비정기적으로 변경해온 등급별 기준을 기술개발, 효율향상 효과 등을 고려해 주기적(3)으로 갱신할 계획으로 금번 중장기 기준은 3(차기)·6년후(차차기)의 최고·최저등급기준 목표를 제시한다.
3개 품목중장기 효율기준은 향후 최고등급(1등급)을 매년 약 1%높여 도전적 목표를 부여하고, 최저등급(5등급)3년간 4등급 수준으로 3~30% 상향하여 기존 5등급 제품의 시장 퇴출을 유도해나갈 계획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냉장고·에어컨의 경우 기준변경 시점(’21.10) 3년 후인 ’24.10월부터 최저등급(5등급) 기준4등급 수준으로 각각 약 30%, 20% 상향하고,
 


TV효율등급 대상 품목과의 기술 성숙도 차이 등을 감안, 기준변경 시점(’22.1)3년 후인 ’25.1월부터 최저등급(5등급) 기준을 약 3% 상향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중장기 목표소비효율기준소비효율등급 대상 품목으로 확대하여 ’21년 김치냉장고·세탁기·냉난방기, ’22공기청정기·제습기·냉온수기 등에 대해 단계적으로 검토하고, 업계 전문가 등 의견 수렴을 거쳐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21.10월부터 소비효율 기준 상향 조정(냉장고·에어컨·TV)
 


또한, 내년 10월부터* 냉장고·에어컨·TV 3개 품목에 대해 소비효율등급 기준을 상향 조정할 계획으로, 1등급 제품 기준을 강화하여 변별력을 확보하고, 최저소비효율기준을 상향하여 저효율 제품의 시장퇴출을 촉진한다.
 


* 품목별 시행 시기는 업계 기술개발 전망과 신제품 출시 일정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
: 냉장고에어컨은 ’21.10.1일부터, TV’22.1.1일부터 시행
(기존 기준 시행일 : 냉장고 ’18.4.1, 에어컨, ’18.10.1, TV ’18.1.1)
 


냉장고의 경우 최대 예상 소비전력과 실제 소비전력의 비율을 사용하여 소비자 관점에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기존 효율지표부피(냉장실·냉동실) 소비전력으로 변경하여 이해하기 쉽게 개선하고, 소비전력사용자 환경에 가까운 값에 근접하도록 측정 기준을 현실화*하며,
 


* 그간 실험실 측정값을 사용해왔으나, 최근 2년간 실증연구(150가구), 설문조사(1,000가구), 업계 의견수렴 등을 거쳐 실사용환경에 맞게 측정값에 1.6배를 곱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변경
 


- 이에 따라 신고모델수 기준 1등급 제품 비중현재의 1/3 수준으로 감소(현재 약 29% 향후 10% 미만)할 것으로 전망*된다.
 


* : A500리터 이상 용량 냉장고는 현재 1등급이나 내년 10월부터 3등급으로 하락할 전망
에어컨은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탠드형 에어컨*에 대해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등급별 효율기준을 현실화하고, 최저등급(5등급) 효율기준 기존 대비 약 40% 상향한다.
 


* 현재 등급 기준이 다소 높아 시중에 1~2등급에 해당하는 제품이 거의 없는 상황으로 B의 스탠드에어컨의 경우 현재 3등급이나 내년 10월부터는 1등급으로 상향될 전망
 


TV의 경우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소비전력값이 실제 사용자 환경에 가깝도록 측정 기준을 현실화(실험실 측정값에 1.3배를 곱하여 적용)하며,
 


- 이에 따라 신고모델수 기준 1등급 제품 비중이 현재의 21%에서 ‘221월부터는 15% 미만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 C의 해상도 4K급 모델은 현재 1등급이나 ’22.1월부터는 2등급으로 하락할 전망
 


건축 단열 기자재인 창세트 효율기준 강화
 


건물 에너지효율 제고를 위해 주요 건축 기자재창세트*에 대해서도 효율등급 기준을 강화(’21.10.1일부터 시행, 기존 기준시행일은 ’15.3.12)한다.
 


* 창틀과 유리를 결합하여 세트 형태로 판매하는 제품으로 단열 효과로 효율 측정
 


1등급 기준을 10% 상향하여 신고모델수 기준 1등급 제품 비중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현재 37% 향후 20% 미만)할 것으로 전망*되며,
 


* : D의 창호 모델은 현재 1등급이나 ’21.10월부터는 2등급으로 하락
 


5등급 기준4등급 수준으로 약 18% 상향하여 기존 5등급 모델의 시장 퇴출을 유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금번에 새로 도입되는 중장기 목표소비효율기준내년부터 시행되는 기준 변경안에 대해 내년 1월중 온라인 설명회개최하여 관련 내용을 업계·소비자 대상으로 적극 안내할 계획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김치냉장고·세탁기·냉난방기에 대한 중장기 목표기준안과 새롭게 시행할 효율기준안을 검토 중으로 내년 상반기업계 전문가 의견수렴, 공청회 개최 등을 거쳐 하반기에 고시개정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유성우 에너지효율과장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너지전환의 확산을 위해서는 에너지수요 측면에서 소비구조 혁신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금번 중장기 효율목표 도입으로 고효율기기 확대, 효율기준 개선의 선순환이 이루어져 에너지효율 혁신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