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촌진흥청]농약안전관리 전문가 모여 농산물 수출 힘 싣는다

btn_textview.gif

?- 농촌진흥청, 26일 수출농산물 농약안전관리 국제 심포지엄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우리 농산물의 수출 지원을 위해 26일 대전에서 ‘수출농산물 농약안전관리 및 수입국 잔류허용기준(IT, Import Tolerance) 설정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학술토론회)’을 연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액은 9,300만 달러로 2017년보다 1.6% 늘었다. 특히 과일과 채소 등 신선 농산물이 16.5% 증가해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우리 농산물에서 대상국 기준에 맞지 않는 잔류농약이 검출돼 통관이 금지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수출농산물의 농약안전사용지침 등 농약 안전 사용 기술 개발과 수출국 IT 설정 확대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수출 농가 안전성 기술 자문 등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일본, 대만의 전문가들과 수출농산물의 농약안전관리 정보를 공유하고,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효율적인 시험을 수행하고 공동 협력의 발판을 갖추고자 마련했다.
1일차에는 ‘국내 농산물 수출 지원 동향 및 각 나라별 IT 설정 방법’을 주제로 △농산물 수출 지원을 위한 국내 정책 방향 △농산물 수출 지원을 위한 농약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 동향 △한국의 PLS 시스템 소개 및 설정 방법 규정 △대만의 IT 설정 방법과 규정 △일본의 IT 설정 방법과 규정 △미국 수출농산물의 IT 설정 사례 등이 발표된다.
2일차에는 ‘농촌진흥청의 IT 설정 연구 추진을 위한 국가별 잔류 시험 방법’을 주제로 △농촌진흥청의 농산물 수출 지원을 위한 IT 설정 연구 소개 △배추, 파프리카, 딸기 등 대만 수출용 농산물 IT 설정 연구 △단감, 인삼 등 미국 수출용 농산물 IT 설정 연구 등 국가별 IT 설정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김병석 화학물질안전과장은 “수출 시장 확대를 위한 적극 행정, 정부 혁신의 하나로 추진하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우리의 높은 농약안전관리 수준을 알려 대만, 일본 등 주요 수출대상국의 IT 신규 설정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수출 통관 중 부적합한 농산물이나 농약이 대상국에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될 수 있도록 잔류시험을 진행하여왔다. 또한, 농가 대상 수출농산물 농약안전사용지침 보급과 상담 등 다양한 관련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참고자료] 수출농산물 농약안전관리 국제심포지엄 계획
[문의]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장 김병석, 김단비 연구사 063-238-3226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