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방부]故 원영철 일등중사, 6·25 전사자 중 137번째로 신원확인

btn_textview.gif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 2019년 10월 1일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일대에서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故 원영철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로 확인했습니다. 故 원영철 일등중사의 신원확인은 2000년 4월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뜬 후 137번째입니다.

ㅇ 이번 신원확인의 결정적 단서는 현장 수습 간 발견된 유해의 가슴부위에서 발견된 인식표였습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인식표에 적힌 고인의 이름을 토대로 전사자 명부와 매화장 보고서(전사기록지)에서 기록을 확인 했습니다.

ㅇ 또한, 신원확인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유가족관리/탐문관이 강원 원주시 일대에서 거주 중인 유가족의 남동생(원영화, 77세)과 여동생(원영숙, 87세) 및 친조카·외조카의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여, 국방부 조사본부 유전자과에서 유해와 유가족의 DNA 비교 검사를 한 결과 남동생(원영화, 77세)과 여동생(원영숙, 87세)씨의 유전자가 일치하여 최종 신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6·25 전사자 확인사업을 시작한 이래 최단기간(10. 1 ~ 11. 14) 내에 가족의 품으로 보내 드린 사례입니다.

ㅇ 이번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는 발전된 유전자 기법과 더불어 유품, 기록 정황에 의한 사전 확인을 통해 신원확인이 보다 신속하게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故 원영철 일등중사는 국군 제 8사단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51년 8월 ~ 9월에 강원도 인제 서화리 일대에서 발생한 제 1차 노전평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ㅇ 제 1차 노전평 전투간(’1951. 8. 9 ∼ 8. 14.) 제8사단은 제16연대와 제10연대를 투입, 전형적인 고지쟁탈전을 반복하면서 445고지 ∼ 1010고지로 이어지는 고지군 일대에서 북한군을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방어에 유리한 결정적 지형지물이 없었기 때문에 공방전이 계속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해 제 2차 노전평 전투(’1951. 8. 18 ∼ 8. 24.)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ㅇ 故 원영철 일등중사의 유해는 인식표를 포함한 버클, 단추, 전투화 등의 유품과 함께 발견되었습니다.(붙임 사진 참조)

□ 故 원영철 일등중사는 1930년 9월 15일 강원 원주시 흥업면에서 5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났습니다.

ㅇ 고인은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고, 일찍 작고하신 형님들을 대신해 책임감을 갖고 집안의 장남 역할을 해 왔으며, 고등학교에 재학 중 6·25전쟁이 발발하자 20세의 나이로 전쟁에 참전했습니다.

ㅇ 하지만 고인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고, 유해조차 찾지 못한 채, 1953년경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사무소 직원에 의해 전사통지서만이 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당시, 남은 가족들은 사진 한 장조차 남아있지 않은 고인을 향한 애타는 그리움을 지금까지 가슴으로 묻고 살 수밖에 없었습니다.

ㅇ 고인의 동생 원영화씨는 “형님이 살아계셨다면 원주군수감이라고 동네사람들이 하나같이 이야기했었다.”며, “결혼도 하지 못한 채 꽃다운 나이에 돌아가신 것이 너무 마음이 아프다며 가족들이 형님을 많이 그리워 했었는데, 좋은 소식을 갖고 찾아와 주신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 국방부는 유가족들과 협의를 거친 후 귀환행사와 안장식을 통해 유해를 추후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입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故 원영철 일등중사의 신원확인 사례처럼 6ㆍ25 전사자 신원확인을 위해 최신의 다양한 신원확인 기법을 지속 적용하는 한편, 유가족 유전자 시료채취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끝.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