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2019년 10월 수출입 동향

btn_textview.gif


2019년 10월 수출입 동향

?



10월 수출 467.8억달러(△14.7%), 수입 413.9억달러(△14.6%)

?


1. 10월 수출입 동향 개요

?


□ (실적) 10월 전체 수출△14.7% 감소한 467.8억달러, 수입은 △14.6% 감소한 413.9억달러, 무역수지53.9억달러93개월 연속 흑자

?


□ (부진 요인) 미중 분쟁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 반도체 업황 부진 유가 하락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작년 10월 수출의 기저효과 등으10월 수출 감소

?


ㅇ 다만, 일본 수출 규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으로 보임

?



< 10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백만달러, %)

구 분

2018년

2019년

10월

7월

8월

9월

10월

수 출

54,860(22.5)

46,084(△11.1)

44,078(△13.9)

44,721(△11.7)

46,784(△14.7)

?


(일평균)

2,385(△4.1)

1,843(△14.6)

1,876(△12.0)

2,182(△16.0)

2,034(△14.7)

수 입

48,481(28.1)

43,737(△2.6)

42,469(△4.3)

38,740(△5.6)

41,391(△14.6)

무역수지

6,380

2,347

1,609

5,982

5,393

?



< 수출증감률 추이(%) >

?


< 수출액 증감 추이(억달러) >

????????????????????????????????????????????????????????????????????????????????????????????????????????????????????????????????????????????

????????????????????????????????????????????????????????????????????????????????????????????????????????????????????????????????????????????

주요 특징

?


10월 수출은 ’18.10월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하였으나, 수출액 467.8억달러는 올해 3번째로 높은 수준

?


* ’18.10월 수출액은 548.6억달러로 ‘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역대 수출 실적 2위이며, 기계(49.9억달러)?석유화학(44.6억달러) 역대 최대 수출, 반도체(115.8억달러)수출 역대 2위

?


?


11월부터 감소폭이 점차 개선되는 흐름을 보일것으로 예상

?


반도체 가격 회복, 미중 무역분쟁의 1단계 협상 타결 가능성*, 선박??석유品 수출 증가로 내년 1분기 수출플러스 전환 전망

?


* 10.15일 추가관세 부과 연기는 ‘20.1Q, 2Q 실질 GDP 성장률의 0.1~0.2%p 상승 기대(UBS)

** 선박(내년 1분기 인도선 증가), 車(친환경차?SUV 신차출시), 석유品(IMO 2020 발효)

?


세계 경기를 이끌고 있는 미국?중국?독일경기 부진에 따라 우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10대 수출국 동반 감소 추세

?


무역 긴장 고조, 세계 경제 둔화, 노딜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등 영향으로 8월 수출주요 10개국 모두 마이너스

?


* 제조업 PMI 지수(9월) : (독일)41.7, (일본)48.9, (이탈리아)47.8, (영국)48.3, (홍콩)41.5

?


< 수출 상위 10개국 수출 증감률 (’19.1∼8월, WTO, 10.31일 기준) >


구 분

중 국

미 국

독 일

일 본

네덜란드

한 국

프랑스

이태리

홍 콩

영 국

10월

15.6

7.9

6.0

8.4

11.3

22.5

9.7

7.2

14.1

10.3

11월

5.4

3.7

△3.3

△0.2

1.4

3.8

△0.6

△2.2

△1.1

△0.03

12월

△4.5

△0.3

△8.2

△3.2

△3.9

△1.3

△4.7

△6.4

△5.8

△14.0

1월

9.2

3.7

△5.0

△6.8

△4.7

△6.2

△1.4

△3.6

△1.7

△8.1

2월

△20.8

1.9

△4.5

△3.4

△1.4

△11.3

△1.4

△5.0

△6.6

△0.8

3월

13.8

△1.1

△6.8

△6.3

△1.5

△8.4

△5.7

△8.4

△3.9

1.3

4월

△2.8

△2.1

△8.8

△5.9

△0.3

△2.1

△2.1

△3.1

△4.1

△1.8

5월

1.0

△2.1

△0.9

△9.4

△1.2

△9.8

9.2

2.3

△6.1

△1.1

6월

△1.3

△5.0

△11.2

△4.9

△4.7

△13.8

△7.0

△6.7

△15.2

△10.4

7월

3.3

△0.6

△0.5

1.4

△0.2

△11.1

0.4

2.1

△9.4

△11.2

8월

△1.0

△1.0

△7.5

△4.0

△7.7

△13.9

△2.9

△7.0

△8.6

△16.9

?


* 중국(해관총서) : 9월(△3.2), 일본(재무성) : 9월(△5.2)

?


ㅇ 다만, 우리 수출 감소폭이 더 큰 이유는 對中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반도체 등 특정 품목 의존도높은데 기인

?


* ‘18년 對中 수출 의존도(對中/對세계수출, %) : (韓)26.8, (日)19.5, (獨)7.1,(佛)4.2, (伊)2.8

* 對中 수출 증감률(%) : (’19.1)△19.0(2)△17.3(3)△15.7(4)△4.6(5)△20.5(6)△24.5(7)△16.6(8)△21.5(9)△21.8(10)△16.9

10월 수출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 누적 수출 물량견조한 증가세(+0.6)

?


ㅇ (10) 반도체(△32.1%)?석유화학(△22.6%)은 단가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에도 불구, 물량견조한 수준이며 20대 품목 중 10개 물량* 증가

?


* 10월 물량 증가율(%):반도체(16.0), 선박(41.5), 車(3.2), 철강(2.1), 가전(1.6), 바이오헬스(5.4), 화장품(8.9), 로봇(37.1), 플라스틱(5.9) 등 10개(25일 기준)

?


ㅇ (1∼10월) 물량0.5% 증가, 반도체?자동차 20대 중 13개 증가

?


< 품목별 물량 증감률(%), (1.1~10.25일 기준) >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차부품

선 박

가 전

바이오헬스

+5.2

+2.2

+7.2

+1.5

+22.0

+1.1

+0.6

이차전지

화장품

농수산식품

플라스틱제품

로 봇

정밀화학원료

총 계

+6.8

+4.0

+6.7

+1.1

+6.9

+1.0

+0.5

?


?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10월 일평균 수출은 20.3억달러를 기록하2개월 연속 20억달러 유지*하고 있으며, 7월부터 상승 추세

?


* 일평균 20억달러 수출 기록은 무역 1조불 달성을 위한 바로미터로 작용

?



< ’19년 월별 일평균 수출액> (단:달러)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e

일평균

19.2

20.8

20.9

20.3

19.9

20.5

18.4

18.8

21.8

20.3

조업일

24.0

19.0

22.5

24.0

23.0

21.5

25.0

23.5

20.5

23.0

?


10월 무역수지도 53.9억달러로 올해 2번째 기록으로, ’10.2월 플러전환 이후 93개월 연속 흑자 기조 유지

?



< 일평균 수출 추이(억달러) >

< 무역수지 추이(억달러) >

????????????????????????????????????????????????????????????????????????????????????????????????????????????????????????????????????????????

????????????????????????????????????????????????????????????????????????????????????????????????????????????????????????????????????????????

선박(25.7%)?컴퓨터(7.7%) 등 주력품목과 바이오헬스(7.8%)?화장품(9.2%)?농수산식품(3.0%) 등 新수출성장품목 호조세 유지

?


* 컴퓨터 수출은 11개월만에 증가로 전환

?


선박 수출은 우리 주력선종인 LNG?VLCC 인도 증가로 3개월 연속 호조세, 컴퓨터 수출은 11개월만에 감소에서 증가전환

ㅇ 新수출성장품목의 경우, 화장품?농수산식품4개월 연속, 바이오헬스?플라스틱제품2개월 연속 증가


< 선박 수출(억달러, %) >

?


< 컴퓨터 수출(억달러, %) >

?


< 화장품 수출(억달러, %) >

????????????????????????????????????????????????????????????????????????????????????????????????????????????????????????????????????????????

?


????????????????????????????????????????????????????????????????????????????????????????????????????????????????????????????????????????????

?


????????????????????????????????????????????????????????????????????????????????????????????????????????????????????????????????????????????


< 농수산식품 수출(억달러, %) >

?


< 바이오헬스 수출(억달러, %) >

?


< 플라스틱 수출(억달러, %) >

????????????????????????????????????????????????????????????????????????????????????????????????????????????????????????????????????????????

?


????????????????????????????????????????????????????????????????????????????????????????????????????????????????????????????????????????????

?


????????????????????????????????????????????????????????????????????????????????????????????????????????????????????????????????????????????

?


미중 분쟁 심화로 對中(△16.9%)?對美(△8.4%) 수출 감소하였으나,1∼10월 누적으로는 對美 수출견고한 성장세(2.2%)를 유지하고 있으며, 베트남(0.6%)?CIS(24.1%) 신흥 시장수출 증가

?


* 中의 ’19.2Q 경제성장률은 6.0%로, 분기 기준으로는 ’92.1Q 이후 27년만 최저치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