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바닷속 사물인터넷(IoT) 국제표준, 한국이 이끈다

btn_textview.gif

?
바닷속 사물인터넷(IoT) 국제표준, 한국이 이끈다

- 우리나라 주도 수중-IoT 국제표준 2 JTC 1/SC 41 회의에서 승인 -

?

□ 국립전파연구원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1118일부터 22일까지 열린 국제표준화기구(ISO)?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간 합동기술위원회(JTC 1)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SC 41)* 6차 국제표준화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수중-IoT(수중통신) 분야의 표준안 2**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

* SC41 :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가 정보기술 분야 국제표준화를 위해 운영 중인 합동기술위원회(JTC 1, Joint Technical Committee 1)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

?

** ‘수중 센서네트워크-응용 프로파일(ISO/IEC FDIS 30142)’과 ‘수중 센서네트워크-수중 네트워크관리시스템(U-NMS) 개요 및 요구사항(ISO/IEC FDIS 30143)

?

□ 이번에 승인된 수중-IoT(수중통신) 표준안은 수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설계·개발 가이드라인과 수중통신망관리시스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공하며, 쓰나미·해저지진 등 재난상황에의 대응, 해양 생물자원·수중생태계의 모니터링을 통한 해양환경 보호, 수중·항만 보안 등 여러 영역에 활용될 수 있다.

?

□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수중-IoT(수중통신)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2018년에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을 제치고 세계 최초로 4건의 국제표준(ISO/IEC 30140-1~4)을 주도해 승인받았다.

?

ㅇ 이번 회의에서는 국민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에서 개발한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제표준 2건을 추가로 승인받아 총 6건의 수중-IoT(수중통신) 국제표준 전체를 주도하게 되었다.

?

□ 수중은 안정된 통신수단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어 독일, 미국 등 일부 선진국만이 기술개발을 시도 중이며, 한국 또한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한국은 이번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해 2022년 약 43억 달러*로 예상되는 수중통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리한 교두보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출처: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Market - Global Drivers, Opportunities, Trends, and Forecasts to 2022, 2017

?

□ 국립전파연구원은 이번 수중-IoT 국제표준 승인으로 인해 수중에서도 해양환경과 생물 모니터링 등 여러 목적을 위한 다양한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3M 8997 폴리이미드 캡톤테이프 20mm x 32.9M
바이플러스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