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5,000억원 규모 “수소펀드“ 출범, 민간의 수소 투자 본격화

btn_textview.gif


5,000억원 규모 수소펀드 출범,

민간의 수소 투자 본격화

- 산업부 2차관, 수소분야 투자 활성화 위한

금융지원, 상생협력, 규제혁신 등 정책적 지원 약속 -


 

22.7.6()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개최된“2022 H2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에 참석하였음

 

2022 H2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 행사는 수소 분야에서 민간 투자 활성화 및 협력 기회 발굴을 위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이 금년에 처음으로 개최

 

* 수소 밸류체인에 투자하는 17개 기업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발족(‘21.9)

- (회원사) 현대차, SK, 포스코(공동의장사), 한화, 롯데, 현대중공업, GS칼텍스, 효성, 두산, 코오롱, 삼성물산, 이수, 일진 E1, 고려아연, 세아철강특수강, LG화학


 

ㅇ 이번 행사에서 수소펀드 출범을 대외적으로 선포하고, 펀드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민관 협력 협약서를 체결하였음

 

 

< 2022 H2 인베스터 데이 개요 >

 

 

 

일시/장소 : ’22.7.6()-7(), 10:00~16:00 /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참석 :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정책금융기관(무보, 수은, 산은), 에너지공공기관(한전, 석유공사, 가스공사),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회원사 및 협력사, 국내외 금융기관, 글로벌 에너지 기업 등

 

내용 : 수소펀드 조성 등 민간 중심의 수소 산업 투자 확대 계획 및 정부의 지원 정책 의지를 대외적으로 선포


수소 펀드는 민간 기업들이 수소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의 필요성 대해 공감하여 자발적으로 조성을 추진하였고,

 

국내 기업(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회원사 등)과 외부 투자자의 출자 등을 통해 5,000억원 규모를 목표로 결성하여, 10년간 운용 후 청산할 예정임

 

ㅇ 모펀드 운용사인 미래에셋이 공동 투자 파트너 스톤피크(Stonepeak), 자펀드 운용사인 노앤파트너스(Noh&Partners)와 함께 금년 말까지 자자를 모집하고 자금을 매칭하여, 내년 초부터 수소 분야에 본격 투자할 예정임

 

ㅇ 수소펀드로 국내외 수소 생산·유통·저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핵심 수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진행할 예정임

 

* () 국내 수소 공급 및 운송 인프라 프로젝트, 초기 시장 선점 및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글로벌 수소 인프라 프로젝트, 유망 수소 기술을 보유한 기업 육성 등


 

정부는 민간 투자 활성화와 수소펀드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금융지원, 상생협력, 규제혁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임

 

(금융지원) 정책금융기관(무보, 산은, 수은)은 수소 펀드가 투자하는 로젝트 및 기업에 금리 인하, 대출 확대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

 

(무보) 수소펀드가 투자하는 국내외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무보가 지원하는 경우, 우대 지원(보험료 할인(최대 20%), 한도 상향(총사업비 100% 이내), 부보율 확대(최대 100%))

 

- 수소펀드로 투자받은 중소·중견에 대해 무보 지원시 우대 강화(보험료할인, 한도확대 등)

(수은) 기술개발, 시설투자 등 수소펀드가 투자하는 프로젝트 및 기업에 대해 맞춤형 우대 지원(대출한도 확대(최대 10%p), 금리 우대(대출-최대 1.0%p, 보증-최대 0.3%p 인하))

 

(산은) “에너지전환자금을 중심으로 수소펀드가 투자한 사업 및 기업 앞 금융지원(금리 우대(0.4%p(중소·중견 0.9%p)인하))


 

(상생협력) 에너지공공기관(한전, 석유공사, 가스공사, 발전6)은 수소펀드 투자 대상 중소·중견의 R&D, 기술사업화, 수요처 발굴 등을 지원

(한전) 우수한 기술 및 제품을 해외에 시범 적용, 협력 연구 개발 사업 지원

 

(석유공사) 수소·암모니아 국내 도입 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에 납품 및 참여기회 확대

 

(가스공사) 동반성장협의회 회원사로 등록하여 기술개발 및 판로 개척 지원

(한수원) 기술 개발 및 기술 사업화(신용대출 금리 인하 등), 국내외 판로 지원

 

(남동발전) 실증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 및 설비나 부지제공, 컨설팅 비용 부담

 

(동서발전) 연구개발 및 사업화 과정 지원, 공동사업개발 및 판로확보 등 협업 추진

(중부발전) 혁신제품에 대한 직접 구매 및 현장 실증 지원, 수소 사업에 기자재 활용

 

(남부발전) 협업을 통한 연구개발 및 현장 실증시험 지원, 제품홍보 지원

 

(서부발전) 실증시험 및 공동 연구개발,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