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1.1% 상승

btn_textview.gif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4.1포인트)** 대비 1.1% 상승한 135.7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지수가 상승했으며, 그중 유지류와 유제품 지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12월 육류(111.3→112.3), 유제품(128.2→129.0) 지수 보정으로 12월 식량가격지수 조정(133.7→134.1)
 *** (`21.1월) 113.5 → (4월) 122.1 → (7월) 124.6 → (10월) 133.2 → (11월) 135.3 → (12월) 134.1→ (`22.1월) 135.7

  2022년 1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1년 12월(140.5포인트)보다 0.1% 상승한 140.6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2.5%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반구에서 계속된 가뭄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쌀은 주요 공급국의 저조한 수확량과 아시아 국가들의 꾸준한 구매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다만 밀은 계절상 호주와 아르헨티나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178.5포인트)보다 4.2% 상승한 185.9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33.8% 상승)하였다. 팜유는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수출량 축소 전망에 대한 우려와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대두유는 인도 등에서 수입 수요가 많아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채씨유 및 해바라기씨유는 각각 공급 부족 및 수입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2.3포인트)보다 0.3% 상승한 112.6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7.3% 상승)하였다. 쇠고기는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의 도축량 부족에 따라 수출 공급량 대비 수입 수요가 초과하여 가격이 상승하였다. 돼지고기는 중국의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노동력 부족과 투입비용 증가로 인한 공급 둔화로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다. 반면, 양고기와 가금육은 코로나19 관련 생산·운송 지연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주요 가금육 생산국의 공급 저조에도 불구하고 세계 수출 공급량이 수입 수요를 상회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29.0포인트)에서 2.4% 상승한 132.1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8.7% 상승)하였다. 이는 서유럽 주요국의 공급·재고 감소에 따른 수출 감소 우려, 향후 수개월 간 오세아니아 지역의 생산량 저조 전망, 그리고 코로나19 관련 노동력 부족에 따른 가공·운송 지연 등에 따른 것이다.

  설탕의 경우, 전월(116.4포인트)에서 3.1% 하락한 112.8포인트를 기록(전년 동월 대비 19.7% 상승)하였다. 설탕은 주요 수출국인 인도와 태국의 낙관적인 생산 전망과 순조로운 수확, 브라질 내 강우량 개선 및 에탄올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였다.

  FAO는 2021/22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1/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93.4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8%(22.0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17.1백만톤(0.7%↑) / 잡곡 1,500.7(1.3%↑) / 밀 775.6(0.1%↓)

  2021/22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05.1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1.6%(43.0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19.7백만톤(1.8%↑) / 잡곡 1,509.6(1.3%↑) / 밀 775.8(1.9%↑)

  2021/22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24.3백만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2%(1.5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87.7백만톤(0.2%↑) / 잡곡 349.1(0.4%↓) / 밀 287.5(0.1%↓)

붙임 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2. 식량가격지수(2013~202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