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8.16.보도설명자료] 동아일보 한국 인구대비 확진자 1위 보도 관련

btn_textview.gif

[8.16.보도설명자료] 동아일보 한국 인구대비 확진자 1위 보도 관련


우리나라는 주요국 중 낮은 엄격성 지수를 보이는 가운데 미접종자 비율이 높은 젊은층에서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나, 전체 발생에 비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8.16. 동아일보, 인구대비 확진자 1... 원인조차 모르니 더 문제보도 관련)


□ 기사 주요내용


 ○ 우리나라 확진자 수는 216개국 가운데 1위로 재유행이 길어지는 원인을 잘 모르고 있으며, 확진자와 고위험군 보호에 집중하는 ‘표적화된 정밀방역’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


□ 설명 내용


 ○ 최근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 대비 많은 확진자 수가 발생하고 있으나, 중증화율과 치명률,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 수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인구 10만 명당 연령대별 발생률은 미접종자 비율이 높은 19세 이하와 20~30대에서 높게 확인되고 있습니다.

     * 발생률: (19세 이하) 270.8명, (20~30대) 266.6명(8월 2주 기준)


  - 중증화율은 지난 2~4월 0.12~0.20%에서 7월 4주 0.08%까지 낮아졌고, 치명률은 2~4월에 0.08~0.13%에서 7월 4주 0.03%까지 감소하는데 이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에 해당합니다.



회원국 치명률(‘22.8.14., Our World in Data)> (참고)

묶음 개체입니다.




 ○ 또한, 우리나라는 주요국 중에 코로나19 관련 사회적 제약(엄격성지수)이 낮아, 상대적으로 일상생활이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는 편입니다.


<주요국 엄격성 지수 추이(‘22.1.1.~8.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a0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2pixel, 세로 27pixel

미국

영국

싱가포르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371b.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4pixel, 세로 139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0001.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9pixel, 세로 138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0002.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8pixel, 세로 138pixel

독일

일본

한국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0004.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0pixel, 세로 133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0005.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7pixel, 세로 14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040006.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7pixel, 세로 136pixel





 ○ 그간 국민 여러분의 협조를 통해 우리나라는 일상을 활발하게 유지하며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낮은 수준으로 이어올 수 있었습니다. 향후에도 중환자와 사망자 관리에 주력하며 환자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