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 Talk

보안 전문가도 북한發 해킹 "안 믿어"

사랑방지기 0 2,789 2015.12.07 02:40

 

민관군 합동대응팀은 2013년 3월 20일 사이버테러 조사결과 북한의 과거 수법과 일치한다고 발표했다.<민관군 합동대응팀은 2013년 3월 20일 사이버테러 조사결과 북한의 과거 수법과 일치한다고 발표했다.>
black_x.png

올해 들어 서울지하철·국회 등을 노린 해킹 시도 역시 북한 소행으로 결론 났다. 이렇게 국내 해킹 상당수가 북한 소행으로 분석됐지만 사이버 보안 분야 종사자 상당수는 이를 믿지 못했다.

보안 전문가도 북한發 해킹 &quot;안 믿어&quot;
black_x.png

응답자 41.3%는 3·20이나 한수원 사고 정부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32.9%만이 신뢰를 보였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 3분의 1도 정부 발표를 신뢰하지 않았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는 ‘정치적으로 북풍을 이용한다고 생각하는 사례’가 38.3%에 달했다. 응답자들은 정권 유지를 위해 사이버 북풍을 이용한다고 생각했다. 34.3%는 북한이라는 결정적 증거가 없으며 15.4%는 인터넷에서 공격자를 추적하는 게 어렵다고 답했다. 국내 사이버 공격 분석력을 믿지 못한다는 답변도 3.4%를 차지했다. 

보안 전문가도 북한發 해킹 &quot;안 믿어&quot;
black_x.png

정부 발표를 믿지 않는 응답자가 많았지만 북한이 한국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다는 응답은 84.1%나 됐다. 북한 사이버전 능력은 매우 높다(23.4%), 높다(46.8%)로 나타났다. 북한 사이버전 위험 경계심이 높았다. 응답자의 93.6%는 평상시 해킹 위험이 높다고 답했다. 

 

 

 

 

 

 

 

이게 무슨 말인가요?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