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매일의 빵] 밀, 물, 불, 효모가 만나 하나의 빵이 되기까지

매일의빵_카드뉴스.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2.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3.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4.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5.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6.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7.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8.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9.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10.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11.jpg

?

매일의빵_카드뉴스12.jpg

?

?

?

?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빵은 더이상 단순한 먹을거리가 아니다. 예전에는 아이들의 군것질이나 가끔 먹는 디저트로만 소비되었지만, 근래에는 이미 주식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동네마다 있는 제과점에는 늘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의 점포 수는 해마다 늘어나다가 이제는 포화상태라는 말이 나온다.

?

빵은 이미 우리의 생활 속에 아주 밀접하게 들어와 있다. 빵을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지만, 막상 베이커의 고단함과 빠르게 변화하는 업계의 실상을 잘 아는 사람은 드물다. 갈수록 산업화되는 생산방식으로 인해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드는 일정 수준의 빵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공급되자, 천연효모를 이용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작업하는 소규모 베이커리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웅은 이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하며, 어설프게 따라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럴수록 개성 있고 독특한 빵을 만드는 데 좀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

73272147?

매일의 빵정웅 저 | 문학동네
손님 없는 새벽, 반죽의 촉감을 오롯이 느끼며 오렌지색 빛을 내는 오븐을 바라보는 것이 좋다는 그는 빵을 만드는 일이 자신에게 찾아온 행운이라고 이야기한다.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

?

?



추천기사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진심은 감추고 본심은 읽어라] 입은 다물고 있어도, 몸은 말하고 있다
  • 채널예스 기사 제목 [마법의 그림자 놀이도감] 순식간에 순록으로, 탐정으로, 물고기로 변신
  • 채널예스 기사 제목 [386 세대유감] 386세대가 꿈꾸던 공정, 평등, 정의 사회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