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2020년 무역 통계로 알아보는 한국-탄자니아 교역

-2020년 한국 對탄자니아 수출 9.7% 증가, 수입 28.5% 증가-

-의약품, 2020년에도 한국의 對탄자니아 효자 수출 품목-



탄자니아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지난해 3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급격한 확산세를 보였다. 탄자니아 정부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하여 전국 휴교령 및 호텔이나 식당 등의 영업 중단과 국제선 중단 및 해외 입국자의 의무 격리 조치 등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 이후 탄자니아 정부는 코로나 확산세가 안정기에 접어 들었다고 판단, 국제선 운항 재개와 휴교령 해제 등 코로나 확산 방지 조치 단계를 완화하였고, 7월 20일 공식적인 코로나 종식을 선언하며 얼어 붙었던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2020 탄자니아는 코로나와 홍수피해로 인한 교통 인프라 파괴의 영향 등으로 탄자니아의 경기는 다소 침체되었으나 탄자니아 정부는 2020 예상 GDP성장률을 5.5% 전망하고 있다. IMF 자료에 따르면 탄자니아의 2020 1월부터9월까지의 수입액은 2019 107 달러 규모에서 2020 72 달러로 32% 감소했으나, 수출액은 전년 대비 35억달러가 증가한 89 달러를 달성했다.

2020 한국과 탄자니아의 무역 총액은 1 9857 달러로 전년 17472 달러에서 13.6% 증가했다. 무역 총액의 증가는 전년 대비 수입액이 28.5% 증가한데다 수출액에서도 10% 가까이 증가한데 기인한다.


최근 5개년 한국 대탄자니아 무역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최근 5개년 탄자니아의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주: 2020년은 1월부터 9월까지의 수출입 금액 기준임

자료: IMF,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대탄자니아 수출, 의약품 증가가 두드러져


2020년 한국의 대탄자니아 수출금액은 전년보다 1338만 달러가 늘어 2019년대비 9.7% 증가하였다. 수출액 기준 상위 10개의 수출 품목은 의약품, 석유화학제품, 섬유제품으로 2020년 전체 수출액의 35.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19년 해당 세가지 품목의 수출액이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5.3% 인 것과 비슷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탄자니아 수출 품목 1위인 의약품(MTI: 226200)의 2019년 수출액은 1775만 달러로 2018년 944만 달러 대비 87% 증가했으며, 2020년 역시 24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 증가하여 2019년과 마찬가지로 2020년에도 對탄자니아 총 수출액 대비 1위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의약품의 수출 금액만큼은 아니지만, X선 및 방사선 기기(MTI: 814610)의 수출액 증가가 눈에 띈다. 전년도 수출액 19만 달러 대비 약 40배 가까이 증가하여 2020년 총 수출액의 5%를 차지하고 있다.


2020 한국, 대탄자니아 수출액 기준 상위 10개 품목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반면 상위 주요 수출 품목인 기타석유화학제품(MTI: 226200)의 수출액은 2019년 1653만 달러에서 2020년 1478만 달러로 10.6% 감소하였고 기타의 섬유 제품(MTI: 449090)의 수출액도 전년 대비 2.4%로 소폭 감소하였다. 특히 윤활유(MTI: 133600)는 수출액이 전년도 1291만 달러에서 2020년 534만 달러로 대폭 (58.6%) 감소한 것이 눈에 띈다.


2019/20년도 한국의 대탄자니아 수출액 기준 상위 10개 품목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미정제 동괴, 한국의 탄자니아 수입 품목 비중 절반 이상 차지


한국의 2020년도 탄자니아 수입액은 4717 달러로 전년 대비 28.5% 증가하였다. 특히 미정제 동괴(MTI: 622110) 수입 증가가 눈에 띄는데, 2019 598 달러에서 2020 2429 달러로 전년대비 300% 이상 증가하며, 수입금액 51.5%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2019 대비 2020년도 미정제동괴의 수입증가액은 1831 달러로 수입 증가액 1046 달러를 상회할 정도로 2020 수입액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상위 주요 수입 품목인 잎담배는 전년 대비 7.7% 감소한 1756 달러 수입에 그쳤고 수입비중은 전년도 전체 수입금액 대비 51.8%였으나 2020년도에는 37.2%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다.

 

2020년도 수입액 기준 품목을 살펴보면 미정제 동괴, 입담배, 커피 그리고 스크랩이 차지하는 비중이 97.6% 차지하여 외의 품목들의 수입금액 비중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 한국, 탄자니아 수입액 기준 상위 10개 품목

(단위: 천 달러, %)

자료: 한국무역협회

    

탄자니아 의료 시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


2020년 2월 탄자니아 정부는 의료 관광 육성안을 발표하고 의료 시설 첨단화 및 의료 서비스 개선에 강한 의지를 보이며 의료·보건 분야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려오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반적인 의료시장의 수요 증가도 기대된다. 그러나 탄자니아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국내 생산이 미미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늘어나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어 한국 기업체의 신규 진출 및 기존 진출 기업의 진출 규모 확대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한국산 의료기기는 품질이 좋다고 평판이 나 있어, 고품질의 믿을 수 있는 AS 서비스 등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활동 등을 통해 우리 제품의 진출 규모 확대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탄 외교부, AfCFTA 가입 의정서 비준 연내 추진, 탄자니아 거점 국가로 활용한 수출 확대 전략 필요


더불어 탄 외교부는 1.21(목) 탄 정부가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Africa Continental Free Trade Area, AfCFTA) 가입을 위한 의정서에 대한 의회의 비준을 연내 추진할 예정임을 밝혔다. AfCFTA는 회원국 간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낮춰 역내 무역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탄자니아는 인접한 주변6개국과 인도양을 연결하는 아프리카 주요 거점국가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AfCFTA 추진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진행사항 파악 및 사전 대응 전략 수립이 요망된다. 그리고 AfCFTA 활용을 통한 아프리카의 무역 증대와 투자 확대를 위해 탄자니아를 주요 거점 국가로 활용한 수출확대 전략 수립 등을 통해 무역 및 투자 증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IMF, 현지 언론 및KOTRA 다레살람 무역관 자료 종합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