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포스트 코로나 시대, 中 화장품시장의 3대 키워드는?

화장품 소비 회복세, 마스크 메이크업 및 피부 트러블 해소 제품 인기 -

- 소셜 라이브 커머스, 화장품 주요 소비채널로 자리매김 -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및 외출자제로 3월까지 두 자릿수의 낙폭을 보였던 화장품 소비가 드디어 회복세를 보였다. 일상이 정상을 찾아가며 4월 화장품 소매 증감률이 플러스로 전환된 데 이어 5월에는 두 자릿수에 도달했다. 화장품이 일상생활에서 생필품만큼이나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는 방증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과 화장품 소매액 월별 증감률(당월, 전년동기 대비)


자료: 국가통계국

 

그러나 업계는 코로나19 여파로 경기둔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고용 불안까지 겹쳐 화장품 소비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이미 중국산과 수입산 화장품 간 과열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업계의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화장품시장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왔고, 2019년 소매규모가 3000억 위안에 육박할 정도로 몸집을 불렸다.

 

중국 화장품 소매 판매액 및 증가율


자료: 국가통계국

 

수입시장은 2014년 이후 30%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며 지난해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한국은 2019년 중국 2위 화장품 수입대상국으로 대한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15.9% 증가한 30억5000만 달러에 달했다.  

 

중국 화장품(HS 3304) 수입동향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