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USMCA 시행으로 가는 길' 웨비나 참관기

- 7월 1일 발효 예상되는 USMCA, 북미시장의 새로운 통상 환경 -

- 원산지 규정 충족을 위해 역내 소싱 피할 수 없는 흐름 될 것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발효 27년만에 동 협정을 대체할 USMCA가 발효를 코앞에 두고 있다. 특히 북미시장의 주요 산업인 자동차 산업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데, 불확실한 통상 환경을 개선하여 역내 3국의 경제 활성화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동 협정의 발효를 앞두고 컨설팅 회사인 딜로이트 멕시코 법인에서 이에 대한 웨비나를 개최하였다. 주요 발표 내용을 요약하고 시사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웨비나 개요

 

웨비나명

USMCA 시행으로 가는 길(Ruta de Implementación del T-MEC)

개최일자

2020년 5월 12일 화요일

사용 플랫폼

ZOOM

개최기관

딜로이트 멕시코 회계법인

주제 및 발표자

USMCA 발효

Cecilia Montaño, 딜로이트(대외무역통관부)

 

자동차산업 관련 주요 변경사항

Manuel Nieblas, 딜로이트(자동차산업부)

 

노동 관련 규정

Claudio Marroquín, Mowat 법무법인

 

USMCA 발효에 대비한 몇가지 권고사항

Manuel Muñiz, 딜로이트(대외무역부)

Roberto Modesto, 딜로이트(대외무역부)

 

북미시장에 의존도 높은 멕시코 경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공약 시부터 NAFTA가 미국에 악영향을 끼치는 점을 강조했었다. 이후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NAFTA 재협상에 착수하였고, 몇 년의 북미 3국의 쟁점, 난항, 합의 끝에 이루어진 USMCA는 기존 NAFTA를 대체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으로, 올해 7월 1일 발효 될 전망이다. NAFTA가 발효된 1994년 이래 멕시코-미국, 캐나다 간의 교역은 무려 450% 가까이 규모가 커졌으며, 2019년 기준 멕시코-미국, 캐나다 간의 교역 규모는 6,000억 달러가 넘는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과 캐나다는 각각 멕시코의 제1위, 제4위 교역국이며, 멕시코 경제는 미국과의 교역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구조이다.(2019년 기준 멕시코 총 수출의 80.5%가 미국행, 3.11%가 캐나다행 / 멕시코 총 수입의 45.2%가 미국발, 2.2%가 캐나다발). 미국으로 향하는 멕시코산 주요 품목은 자동차, 전기기계, 의료기계 및 장비, 가구 등이며, 미국에서 수입해오는 품목은 연료, 광물, 오일, 기계장비, 자동차, 기계, 플라스틱 등이다.

 

1994-2019년 멕시코 및 북미 2국(미국, 캐나다) 교역 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