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쿠웨이트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방역용품 시장 동향

- 쿠웨이트 정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억제를 위해 다양한 방법 모색  -

- 개인 방역용품에 대한 수요 증가 -




2020년 2 24일 쿠웨이트의 첫번째 COVID-19 사례가 발생했으며 20206 17일까지 총 37,533건의 COVID-19 감염자가 발생하였고 30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쿠웨이트 정부는 COVID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3월 22일부터 전국에 단계별 통행금지와 사업장 폐쇄 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쿠웨이트 보건부(MoH) 뿐만 아니라 쿠웨이트 각료회의를 중심으로 범 정부차원에서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다.



쿠웨이트 COVID19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2020.6.17일 기준)

external_image

 자료: 쿠웨이트 보건부 MOH


통행금지 시행으로 한산한 쿠웨이트 시티

external_image

자료: 쿠웨이트 무역관 촬영

 

쿠웨이트 정부 COVID19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외국인 입국금지, 통행금지 시행


311 쿠웨이트 정부는 쿠웨이트 자국민만 쿠웨이트에 입국할 있도록 발표하였고 쿠웨이트 자국민과 함께 동반하는 직계 가족(외국인) 입국만을 허용하였다. 현재까지 자국민을 제외한 외국인의 쿠웨이트 입국은 금지 상태이다.

 

3 14일부터 쿠웨이트 국제 공항은 쿠웨이트 자국민, 자국민과 함께 여행하는 직계 친척을 제외한 일반 민간기의 인바운드 항공편은 전면 폐쇄 되었고, 통지가 있을 때까지 잠정적으로 지속 예정이다. 상업화물 항공 운송은 계속 허용 중이다.


외국인 입국금지로 한산한 쿠웨이트 공항

 자료: 248am


2020년 3월 22일 쿠웨이트 정부에서는 Covid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민 통행금지를 실시하였다. 오후 4시부터 오전 8시까지 전국 통금 시간이 적용되었고 통 시간 명령을 위반 것으로 밝혀진 사람은 최대 3 동안 감옥에 수감되거나, 10,000 KD 벌금이 부과되며 언론에 이름이 게시된. 또한 통금령을 위반한 외국인은 추방의 위험이 있다.

 

쿠웨이트의 Jleeb Al-Shuyoukh Mahboula지역은 완전폐쇄가 되었고,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해당지역의 폐쇄는 지속 될 예정이다. 해당 지역 거주자 외부 병원에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정부에 외부 외출 허가를 신청할 있다.


4 20 쿠웨이트 정부는 전국 통금 시간을 오후 4시에서 오전 8시까지 하루 16시간으로 확대하고 정부 부처를 포함한 공공 부문의 업무 중단을 5 31일까지로 연장 발표했다. 쿠웨이트 정부는 5 10 오후 4(13:00 GMT)부터 5 30일까지 'Total Curfew'(전면통행금지) 시행하며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노력을 기울였다. 5 30일부터 전체통금에서 다시 부분 통금으로 통금시간이 축소 되었으며 2020 9 정상적인 생활이 재개 때까지 통금은 점차 줄어 예정이다.


일상 재개 계획은 쿠웨이트내 코로나19 확산 추이와 방역 상황 등을 고려해가면서, 아래 매 단계별 3주씩 5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계획은 아래와 같다.

쿠웨이트 일상생활 복귀 계획

단계

내용

1단계

5.31(일)부터 매일 오후 6~익일 오전 6시 부분통금 실시 / 상기 특정 지역은 전면통금 / 식당, 카페 픽업 가능 / 이슬람 사원 개방

2단계

매일 오후 9~익일 오전 6시 부분통금 실시 / 전부문 약 30% 휴업 해제 / 대형몰, 도소매점 재개 / 공원 및 다중시설 이용재개

3단계

부분통금 해제 / 전부문 약 50% 휴업 해제 / 호텔, 스파 재개 / 1인 승객 택시 운행

4단계

전부문 100% 휴업 해제 / 일상 거리두기 유지 전제로 식당 재개 / 대중교통 정상 운행

5단계

결혼식, 졸업식, 체육관, 미용실, 극장 등 시설 재개

자료:   주쿠웨이트 한국대사관 공지사항(쿠웨이트 각료회의 발표 내용)


 쿠웨이트 검역의 주체 보건부 MOH(Ministry Of Health)


쿠웨이트 보건부 MOH

 자료: MOH

쿠웨이트 보건부 (MOH) 쿠웨이트의 COVID-19 상황 관련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이에 따른 쿠웨이트의 통금 시행 세부 지침에 대해 내무부, 국방부 정보부등 관련 부처와의 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쿠웨이트의 주요 정부 기관이다. MOH 주체가 되어 쿠웨이트의 통행금지 시간조정 쿠웨이트 출입국에 관한 내용을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2020 6 17, 쿠웨이트 보건부 발표에 따르면, 쿠웨이트 COVID19 누적 발병건수는 37,533, COVID 19 신규 발병건수는 575, 신규 회복자수는 690건, 누적 사망자 수는 306명이라고 발표했다.


쿠웨이트 보건부 기술 담당 차관보인, Dr. Abdul Rahman Al-Mutairi 따르면, “쿠웨이트 보건부에서는 COVID19 대응하기 위해 보건부 기술부에서는 최고의 역량을 보유한 팀을 꾸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팀을 만들었고 해당 팀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치료 예방 조치를 계획하고 구현한다 하였다. 또한 팀은COVID19 치료 프로토콜 예방을 위한 권장 사항 정보 안내를 담당하며 국제기구, 특히 세계 보건기구 WHO 질병 통제 예방센터의 지침 내용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최근 쿠웨이트 COVID19 발생

                                                                                                                                                                 단위:

external_image

자료: MOH정보 쿠웨이트무역관 자체편집

 

쿠웨이트 COVID19 긴급 구호품 배급 현장

external_image

자료: 쿠웨이트 무역관 촬영

 

COVID-19 쿠웨이트 의료 수입품 현황


현재까지 쿠웨이트에 수입된 COVID19 관련 품목들의 정확한 통계자료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상황이며 공급된 제품들의 일부는 COVID19 바이러스가 쿠웨이트에 확산되고 있는 초기에 쿠웨이트에 도착했다.

 

일례로 4 9 쿠웨이트 정부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도움이 되는 수많은 의료 장비와 보급품을 중국에 주문했다. 중국에 주문한 COVID19 관련 필요한 물품을 수송하기 위해 쿠웨이트 육군 수송기를 중국으로 보냈으며 55톤의 의료용품이 수송기에 탑재되었고 해당 항공기는 중국 광저우에서 이륙했다. 이는 쿠웨이트의 송환 송달 작전의 일환으로 정부가 바이러스와의 싸움에 대한 물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비행하는 7번째 군용기였다.

 

쿠웨이트 국방부, 보건부, 과학발전재단 (KFAS)들이 상호 협력하여 500 쿠웨이트디나르(1650 USD) 정부 예산을 할당하여 가장 필요한 의료장비 관련 물품을 구매했으며, 3월에는 쿠웨이트 국왕이 쿠웨이트과학발전재단(KFAS) COVID19 감염 확산 완화하기 위한 긴급대응 프로그램에 1000 쿠웨이트 디나르(3230USD) 배정하라고 지시했다. 


KFAS 지원 프로그램 기능 담당 사무차장인 Amani Al-Bedah 성명에서 "의료장비의 도착은 감염에 대한 최전방의 무장화를 위한 필수요건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중요한 사례를 소화할 있는 보건 시스템의 준비를 높이는 효과적인 기여라고 말했으며, 2020 5 11 해외에서 구입한 COVID19 관련 진단 장치 필요물품 등을 4 이상의 민간항공기로 쿠웨이트로 조달했다" 발표했다.

 

쿠웨이트 정부, 한국산 COVID19 진단키트 구매 및 K-방역 솔루션 도입 검토


한국의 보건 및 의료 시스템이 전세계적으로 위상이 높아지면서 쿠웨이트 정부 및 의료업계는 COVID19 진단키트 등 K-방역 제품 및 솔루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쿠웨이트 보건부(MoH)는 2020 4 한국 기업인들의 쿠웨이트 예외적 입국을 허용하면서, 코로나19 집단발병 사태에 시급하게 대응하기 위한 방역물자로 국내기업 랩지노믹스와 오상헬스케어에서 각각 COVID-19진단 키트 20만개씩을 구입했다. 이를 단초로 여러 진단키트 국내업체들이 수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금년 초부터 다수의 한국 기업들이 쿠웨이트 COVID19  방역제품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방역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한국형 COVID-19 스마트관리시스템 수출 화상상담

자료 : 쿠웨이트 무역관


쿠웨이트 정부가 COVID19 등 전염병 질병관리 및 의료방역을 ICT 기반으로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쿠웨이트 무역관은 2020년 4월부터 쿠웨이트 과학발전재단(KFAS), 한국 통신사 KT, 빅데이터 전문업체 포미트와 양국 4자 특별 화상상담을 수차례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쿠웨이트 정부기관들에 한국형 COVID-19 스마트관리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양국 간 보건 의료 ICT 국제협력 사업을 촉진하고 구체화하여 개발해 나가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COVID19 관련 의료 및 방역물품, 쿠웨이트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사항
  
쿠웨이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 다음을 충족해야 한다.

 1. 쿠웨이트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CE 또는 FDA인증을 보유해야 한다.

 2. 필요한 모든 증명서와 서류를 취득한 국내 제조업체를 포함한 국내기업(제조업체포함) 쿠웨이트 에이전트 간의 계약서는 먼저 한국 외교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한다. 국내기업이 진행해야 하며 비용은 쿠웨이트 대사관에 30달러, 외교부에는 17달러의 비용이 든다.
 3. 쿠웨이트 에이전트는 쿠웨이트 보건부에 제품등록을 하기위해 산업부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MOCI) 에이전시계약을 체결한 MOCI로부터 확인을 받는다. 소요기간은 2~3, 소요비용은 150 UDS 소요된다.
 4. 쿠웨이트 에이전트는 보건부에 제품등록을 하기 위해 대리점 계약서와 산업부(MOCI) 등록증을 가져간다. 그리고 안에는 GMP 또는 ISO 인증서, 안전 인증서, 자율 판매 인증서를 포함한 한국제조공장/회사에 대한 종합 파일이 포함된다. 종합파일에는 장비 정보, 생산 라인, 제품, 공장에서 획득한 인증서, 청사진, 제어 장치, 품질, 샘플 등의 모든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쿠웨이트 보건부에 제출된다.

 5. 등록 기간은 제품에 따라 3~4개월이 소요되며, 제품 등록 비용은 기본등록비 250KD 제품당 KD10이므로 250 제품을 등록할 예상 비용은 KD2750 것이다.


2020년 상반기, 쿠웨이트의 한국산 COVID-19 방역제품 수입현황

번호

쿠웨이트 수입처

한국 공급처

HS 코드

제품명

상태

1

G사

B사

902750

AFIAS-6 (Automated Fluorescent Immunoassay System)

완료

2

A사

P사

38200

COVID-19 Antobody Detection Kit

완료

3

A사

B사

902750

AFIAS-6 (Automated Fluorescent Immunoassay System)

완료

4

B사

J사

852329

Lung Disease Analysis Solution

완료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