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미얀마에서 2008년 금융위기보다 코로나19가 더 무서운 이유

-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미얀마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 -

- 2011년 이후 경제를 개방한 미얀마, ?코로나19?사태로 2008년 금융위기보다 큰 영향 받을 것?-

?

?

미얀마 2008년 금융위기 진행 과정

?

? ㅇ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상황

??? - 미얀마는 2008년 당시 군부가 집권하고 있었으며, 폐쇄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음.

??? - 미얀마는 당시 10~12%의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수출산업이 부재하여 만성적인 외환보유고 부족을 겪고 있었음.

??? - 20084월 미얀마 남부지방를 강타한 싸이클론 나르기스로 경제중심지 양곤이 큰 피해를 입었음.

?

2007~2010년 미얀마 GDP 성장률

(단위 : %)

구분

2007

2008

2009

2010

전체

12.0

10.3

10.6

9.6

농업

7.9

5.6

5.6

4.7

산업

19.6

18

17.6

18.6

서비스업

13.2

11.6

12.1

9.5

자료 : 미얀마 통계청


? 미얀마 정부의 대응정책

???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며 중앙은행이 처음으로 0.25% 기준금리를 인상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9월 짜트화 가치 하락으로 현지 진출 외국기업들이 애로를 겪음.

??? - 미얀마 정부는 외환보유고 부족으로 인해 2002년에 수출 우선 정책(Export First Policy)을 시행하였으며, 민간 부문 수입이 제한되어 있었음.

??? - 당시 미얀마는 수출 실적이 있어야 수입이 가능한 Export Earning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일부 품목의 경우 수출입이 제한되어 있었음. 2009년에 정부가 Export Earning을 구입할 수 있는 분야에 호텔관광을 추가

??? - 2016년에 개정된 미얀마 Financial Institution Law2008년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은행들에 대한 요건을 기반으로 해서 개정됨.

??? - 2008년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가장 타격을 입은 분야는 호텔관광 분야임.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084~8월까지 미얀마 방문 외국인 관광객은 약 83,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

??? - 당시 미얀마 정부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신규 공항 건설 프로젝트를 계획한 바 있으나 취소됨.


2007-2010년 미얀마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

(단위 : )

구분

2007

2008

2009

2010

관광객 수

131,784

100,439

164,000

216,861

자료 : 미얀마 통계청


? ㅇ?금융위기 전후 미얀마 산업구조 변화

??? -?추세상의 변화는 없었음.

?

2007~2010년 산업별 GDP 및 비중 비교표

(단위 : 백만 짜트(1USD=1,360짜트), %)?

구분

2007

2008

2009

2010

농업

10109849.5(43.3%)

11773734.7(40.3%)

12916381(38.1%)

14658961.3(36.9%)

공업

4762697.5(20.4%)

6625963.1(22.7%)

8314887.4(24.5%)

10528139.7(26.5%)

서비스업

8463565.7(36.3%)

10833590.2(37.1%)

12662770(37.4%)

14589663.9(36.7%)

자료 : 미얀마 통계청



2008년 금융위기가 미얀마에 미친 영향

????

? ㅇ?제한적인 영향

??? - 미얀마는 금융시장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당시 주식시장이 없던 상황이었으므로 타 국가에 비해 제한적인 영향을 받았음.

??? - 환율이 상승하고 성장률이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10% 이상의 성장세를 보임.

??? - 오히려 경제중심지 양곤을 강타한 싸이클론 나르기스로 인해 더 큰 피해를 봄. 관광객 감소도 4월 나르기스가 발생한 이후 급감하였으며 실물경제에 대한 타격도 나르기스 발생 이후 발생함.

??? - 산업구조, 소비트렌드 역시 금융위기로 인한 변화는 제한적임.

?

? ㅇ 금융위기 이후 미얀마의 경제상황

??? - 미얀마는 2011년 군부정권이 물러나면서 민간정부가 집권하게 됨.

??? - 민간정부 집권 이후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외 개방정책을 실시하여 외국인 투자가 급격히 증가

??? - 경제개방 이후 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의 눈높이도 올라가면서 소비가 고급화, 다양화 됨.



미얀마의 코로나19 현황


? 미얀마 코로나19 발병 현황

??? - 미얀마는 1월말 이후 의심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나,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음.

??? - 미얀마는 코로나19 환자를 판정할 수 연구소가 1개소만 존재하며, 보건의료 인프라가 매우 열악함.

??? - 상당수의 미얀마 국민들은 미얀마에도 코로나19 감염자가 이미 발생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음.

??? - 324일 미얀마 보건체육부는 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음을 발표함. 325일에도 추가로 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음을 발표

????

? 미얀마 정부의 대응

??? - 미얀마 정부는 316일 수출에 대한 2%의 원천징수세를 연말까지 면제할 것임을 발표

??? - 이후 모든 공식적인 행사와 집회를 취소하고, 극장 폐쇄 및 휴교령 공포

??? - 한국, 중국, 이란 등을 거쳐 입국한 사람들에 대한 입국을 금지하고 14일 자택 및 지정시설에 격리조치 실시

??? - 316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5% 인하

??? - 324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추가로 1% 인하하였으며, 각종 예금, 대출금리도 인하

?

코로나19로 인한 미얀마 금리 인하

(단위 : %)

구분

2018-2019

2020-03-16

2020-03-24

(확진자발생이후)

예금금리

8

7.5

6.5

대출금리

(secured loans)

13

12.5

11.5

대출금리

(unsecured loans)

16

15.5

14.5

자료 : 미얀마 중앙은행



코로나19가 미얀마에 미치는 영향

?

? ㅇ 코로나19가 미얀마 경제에 미치는 영향

??? - 아직 최근 실물경제 지표에 대한 미얀마 정부의 통계가 발표되지 않고 있음.

??? - 무역관 자체 조사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 원자재를 수입하는 제조업 분야가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특히 미얀마 제1의 수출품목인 의류를 생산하는 봉제공장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음. 다수의 봉제공장이 주문감소와 원단공급 중단으로 단축조업을 시행하고 있음.

??? - 코로나19로 인해 중국과의 국경무역지대인 Muse Cross Border의 교역량이 1월말부터 1달간 전년 동기대비 50%가량 감소하였음. 중국은 미얀마의 제 1 교역국임.

??? - 미얀마 FDI26%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중국발 투자감소를 우려하고 있음. 특히 대형 프로젝트인 Muse Cross Border Trade Zone, China Myanmar Economic Corridor, Kyaukphyu Special Economic Zone New Yangon City Project는 중국의 상황에 따라 진행이 지연될 수 있음.

??? - -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 개발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입국금지조치로 프로젝트 진행이 지연될 수 있음.

?

? ㅇ?코로나19와 소비트렌드의 변화

??? - 324일 최초확진자 발표 이후 미얀마 주요 마트에서 쌀 등 식품류 사재기 현상이 발생

??? - 이에 미얀마 주요 수퍼마켓 브랜드인 City Mart는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쌀, 식용류, 마스크 등 주요 생필품의 1인당 상품 구매량을 제한

??? - 미얀마는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습관이 거의 없었으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이후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이 크게 증가

??? - 코로나19 발생 이후 라면 등 인스턴트 음식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음식배달 서비스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

미얀마 :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

? ㅇ 코로나 19로 미얀마 제조업 및 수출에 타격

??? - 미얀마의 제조업은 낮은 임금을 활용한 봉제공장이 대부분이며, 의류가 수출액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 봉제공장은 대부분 원청의 주문을 받아 임가공만 하여 납품하는데, 원청에서 대부분의 자재를 조달받음.

??? - 다만 원청 대부분이 자재를 중국에서 조달하는데, 코로나19로 중국의 공장들이 가동이 중단되어 주문과 원자재 공급이 크게 감소한 상태

??? - 상당수의 미얀마 봉제기업들은 주2일 단축근무를 시행하고 있으며 일부 공장은 폐업하기도 함.

??? - 봉제공장 뿐 아니라 자동차 조립공장 등 타 제조업 역시 부품을 중국으로부터 조달하기 어려워 조업량을 줄일 계획

?

? ㅇ 미얀마의 경제체제 변화에 따른 영향

??? - 2008년 금융위기는 당시 미얀마의 폐쇄경제 체제로 인해 제한적인 영향을 미쳤음.

??? - 2011년 이후 개방경제로 전환한 미얀마는?외부 충격으로부터의?취약성이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해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

??? - 특히 미얀마와 무역, 투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으로부터의 충격이 가장 큼.

??? - 코로나19로 인해 2008년 금융위기보다 더 큰 국내생산 감소, 교역량 및 투자 감소가 예상됨.

?


자료 : 양곤무역관 자체 조사, 미얀마 통계청, 미얀마 중앙은행
?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