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 Global

비대면 시대의 쿠웨이트 리테일 소비동향

- 코로나19, 비대면 경제로 소비트렌드 변화 -

- 시장 동향을 파악, 위기를 기회로 활용 -

 

 


 코로나19 로 한산한 쿠웨이트 최대 쇼핑몰 The Avenues

자료: TIMESKUWAIT
 


쿠웨이트는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단계적으로 완화되면서 그간 폐쇄 및 휴업 중이었던 상점들이 개장하기 시작했고, 상점을 다시 찾는 소비자들의 구매 활동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금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지속이 된다면 쿠웨이트 현지 쇼핑몰과 상점을 찾는 고객 수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2020 쿠웨이트 소비자 시장 동향


최근 Fitch Solutions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쿠웨이트의 소비자들은 가계 예산의 상당 부분을 생활을 영위하는 필수적인 분야와 서비스에 지출하고 있다. 식품 및 음료, 의류 및 신발류, 주택 및 공공시설, 교통 및 통신 등이 필수 분야에 해당하며 이들 분야의 총지출은 2020년 총 가계 지출의 61.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의 사태가 중기적으로 지속이 된다면 2024년에는 필수 분야의 지출 비중이 62.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에서 언급 4개 필수분야 중 식품과 음료가 25.7%로 2020년 가장 큰 비중을 자치했으며 주택 및 공공요금은 15.7%로 그 뒤를 차지했다.


2020년 쿠웨이트 소비동향

 external_image

자료Fitch Solutions, 쿠웨이트 무역관 자체편집


생활필수품 / 필수품 소비 동향

(단위: %)

종류

2018년

2019년

2020 (f)

2021 (f)

2022 (f)

2023 (f)

2024 (f)

생활필수품

59.8

60.2

61.4

62.3

61.4

61.8

62.2

비 필수품

40.2

39.8

38.6

38.7

38.6

38.2

37.8

자료: Fitch Solutions, (f)추정

 

쿠웨이트는 상대적으로 인구와 국가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GCC 지역에서 UAE, 사우디 아라비아를 뒤잇는 3위의 소비 시장규모를 자랑한다. 만큼 쿠웨이트 자국민들은 소득수준이 높아 높은 소비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쿠웨이트의 리테일 시장은 2018 110 달러 이상으로 석유 부분 GDP 9.1% 해당한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쿠웨이트 사람들은 음식, 음료와 같은 필수 아이템에 지출하며, 쿠웨이트의 모든 학교가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을 위한 노트북, 태블릿PC 온라인 학습, 재택근무로 인한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코로나19 대유행을 억제하기 위해 정부 기관의 업무도 온라인서비스로 제공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민들은 직장, 학교, 쇼핑 생활의 모든 반경을 집 인근 지역으로 줄이며 재택활동으로 대체 가능한 생활로 변화했다. 따라서 상품 마다 온라인 주문, 배달시스템을 갖추게 되었고 소비자들도 집에서 휴대전화나 PC 주문하고 배송받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쿠웨이트의 유명한 전자제품 사이트인 ‘Eureka’ 커머셜 매니저인 Mr. Chabel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현재 코로나19 여파로 대부분의 분야는 불황이지만 식품, ICT 서비스 전자제품 분야는 코로나19 덕분에 많은 혜택을 받는 부문이다라고 답했다.

 

쿠웨이트 일상생활 복귀 계획 (현재 4단계 시행 중)

단계

내용

1단계

- 5 31()부터 매일 오후 6~익일 오전 6시 부분 통금 실시

- 상기 특정지역은 전면 통금

- 식당, 카페 픽업 가능

- 이슬람 사원 개방

2단계

- 매일 오후 9~익일 오전 6시 부분 통금 실시

- 전 부문 약 30% 휴업 해제

- 대형 몰, 도 소매점 재개

- 공원 및 다중 시설 이용 재개

3단계

- 부분 통금 해제

- 전 부문 약 50% 휴업 해제

- 호텔 및 스파시설 재개

- 1인 승객 택시 운행

4단계

- 사업장 100% 미만 운영 재개

- 일상 거리 두기 유지 전제로 식당 재개

- 대중교통 정상 운행 (5단계 중 체육관, 미용실 운영 재개)

5단계

- 사회적 모임, 결혼식, 졸업식, 극장 등 시설 재개

자료: 주 쿠웨이트 한국 대사관 공지사항(쿠웨이트 각료회의 발표 내용)

 

주요 소비자 소매 소비 부문

 

1. 음식, 음료, 담배

2020년 쿠웨이트 가계 지출 중 가장 큰 범주에 해당하는 것은 음식과 음료 부분이다. Fitch solutions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식품 및 음료 지출이 26억 KWD (약 82억 달러), 2024년에는 35억 KWD (약 110억 달러)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전체 가계 지출의 24.0%, 2024년에는 25.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식품 및 음료 지출의 성장률은 2019년 추정 6.4%에서 2020년에는 7.4%까지 상승할 것이며, 2021년까지 이 추세가 지속하여 약 7.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코로나19, 쿠웨이트 대형슈퍼마켓 인산인해

자료: Arab Times

2. 의류 신발

의류와 신발이 전체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영향력은 상당하다. Fitch Solutions 보고서에서 제시한 2018~2024년 의류와 신발 예상 지출은 해당 기간 동안 연평균 4.3% (KWD기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2020 의류 신발 예상 지출액은 10 KWD (약 32억 달러)이며, 2024년에는 13 KWD (약 41억 달러)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류와 신발 중에서는 의류가 비중을 차지한다. 로나19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지출이 감소함에 따라 2019년에 비해 2020 의류와 신발 시장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의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의류와 신발 시장은 항상 인기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높은 소비력을 보유한 쿠웨이트 자국민들에게 의류와 신발 시장은 항상 수요가 편이고 또한 그들은 새로운 패션과 유행에 대한 갈증이 있어 의류와 신발 시장의 새로운 공급은 언제나 환영하는 편이다.

3. 생활용품

Fitch solutions 보고서에 따르면 2020 전반적으로 쿠웨이트의 생활용품 지출은 2020년에 5.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소비자들이 지출하는 분야가 생존을 위한 필수품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자재, 방역 용품과 같은 생존 필수제품 등에 대한 지출은 증가하였으나 일반 생활용품에 대한 수요나 지출은 줄어들었다. 2020 생활용품 지출이 11 KWD (약 34억 달러) 전망되며 2024 말에는 지출이 13억 KWD (약 40억 달러)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4. 가전제품

2020 3~5 쿠웨이트 코로나19 사태 가장 심해졌을 가정용 필수 가전제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가장 인기가 컸던 품목은 가정용 냉장고로 가전제품 매장마다 품절 사태로 곤욕을 치렀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영향으로 쿠웨이트 국민들의 사회적 공포도 극도로 커졌다. 국가에서 국민들의 전면 통금을 시행하는 국민들의 외부 외출을 제한하고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는 다양한 노력을 펼쳤다. 영향으로 쿠웨이트 국민들은 외부 외출을 자제하며 자택에서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하며 지냈고 영향으로 인해 가정용 전자제품의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했다. 전자제품 회사는 넘치는 수요에 비해 부족한 공급 물량으로 혼란을 겪기도 했다. 2020 10 현재는 공급이 어느 정도 안정된 상황이며 현재는 재택근무, 온라인학습 등을 위한 개인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카메라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가전제품 부문은 쿠웨이트 인구 십대들과 젊은이들의 비중이 것이 특징이다.

 

쿠웨이트 전자매장 판매중인 한국 스마트폰

external_image

자료: 쿠웨이트 무역관 직접 촬영

 

 코로나19 개인 구호, 방역 관리 제품


쿠웨이트도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민들의 개인위생, 방역관리 등에 관심이 높다. 의료용 장갑, 의료용 마스크, 방호복, 신발, 보안경, 안면 보호구, 손 세정제, 세정용 티슈 기타 관련 품목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교, 기업들이 일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근로자들도 다시 활동을 시작하고 학생들도 등교를 시작하게 되면 코로나19 대한 관련 기타 제품 등에 대한 수요도 계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쿠웨이트 약국에서 판매중인 개인 위생용품

external_imageexternal_image

자료: 쿠웨이트 무역관 직접촬영

 

2021 경기 회복


단기적으로는 소비가 정상으로 돌아오는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봉쇄정책이 완화될 것이기에 국가경제 저조했던 소비지출도 회복 것으로 예상된다. Fitch Solutions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부터 쿠웨이트의 소비자 지출이 회복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가계 지출은 전년 대비 약 4.9% 증가 것으로 예상한다현재 쿠웨이트 당국은 GDP 1.5% 해당하는 5 KWD (약 16 달러) 해당하는 다양한 부양책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시민에 대한 완전한 실업 수당 유지, 퇴직 연금 철회 완화, 식품 의약품 가격 안정성 유지 등이 포함된다. 특히 기업과 중소기업을 지원하여 직원을 유지하고 경제 활동으로 복귀 있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가 도입되었다.



시사점


코로나19 영향으로 전자상거래 디지털 결제 도입이 가속화되어 카드 결제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소비자들은 코로나19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외출을 자제하고 사회 활동을 제한하며 자신의 안전을 위해 개인 건강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 교육, 서비스, 배송, 인터넷 기술을 기반한 참신한 서비스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해당 분야에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은 현재 상황을 기회로 활용해 수도 있다.

 

코로나19 상황은 현재 쿠웨이트의 경제 소비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세계 시장이 동일하게 겪고 있는 어려움이다. 다행히 쿠웨이트 정부는 그동안 닫았던 봉쇄를 완화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는 쿠웨이트 경제에 희소식이라고 있다. 현재의 시장 상황은 대부분 침체되어 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요나 시장이 성장한 분야도 존재한다. 내기업들이 현재 겪고 있는 위기상황을 살펴보고, 중기적인 관점에서 쿠웨이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자료: Fitch Solutions, 쿠웨이트 무역관 직접촬영, 쿠웨이트 한국 대사관, 쿠웨이트 정부기관, Timeskuwait, Prezi (썸네일이미지)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