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이센스, 중심으로 다가가는 소수자

이센스 <이방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몰입도는 전작보다 덜하지만, 2019년 한국 힙합과 시스템을 관조하는 흥미로운 기록이다.  (2019. 08. 21)

85875863044627087_1455063007.jpg

 

 

스스로 ‘이방인’으로 규정한, 굶주린 사내가 뒤를 돌아본다. 현실로부터 한 발짝 떨어져 <The Anecdote>를 노래한 이센스는 <이방인>에서 익숙한 질서와 통념을 거부하며 강한 열망을 드러낸다. 그 근거는 모순된 구조와 거짓 웃음, 미디어의 가식 없이도 명작의 칭호를 획득했다는 자신감이다. 시스템 중심으로 다가가는 소수자의 입꼬리엔 슬쩍 미소가 걸려 있다.

 

<이방인>에는 자본과 성공의 이야기가 많다. 전작의 성공과 명성을 소문으로만 접했던 옥중의 이센스는 출소 후 그 모든 것을 「알아야겠어」며 손에 직접 쥐어보고자 한다. 「BUCKY」에서 플렉스와 방탕한 삶을 외치는 가짜 히피들을 조소하고, 「ALL GOOD THING」에서 철학으로 쌓아 올린 통장 잔고를 확인하며 ‘돈으로 얻을 수 없는 것’에 대한 믿음을 확인하는 식이다. 사회로부터 추방당한 경험을 토로하는 「MTLA」 다음 앨범의 마무리는 강한 열망의 「BAD IDEA」다.

 

고독했던 래퍼의 옆에는 이제 마스타 우, 김아일, 김심야의 피쳐링진, 든든한 프로듀서진과 선주문 3일 만에 2만 장 앨범을 매진시킨 지지자들이 함께한다. 프로듀서 오비(Daniel Obi Klein)의 붐뱁 비트로 일관했던 전작과 달리 250, 디캡, 드류버드, XXX의 프랭크가 참여한 다채로운 비트는 듣는 재미를 더한다. 그 위에서 여느 때보다 공격적이고 확신에 찬 퍼포먼스가 빛난다. 

 

삐딱한 사상의 승리를 선언하는 「BUCKY」와 「ALL GOOD THING」에서 2008년 믹스테잎 <New Blood, Rapper Vol.1>의 면모를 발견한다면, 냉소적인 「COLD WATER」와 「알아야겠어」, 김심야의 「Bitch」 폭격과 함께하는 「RADAR」는 트랩 비트로 새로이 날을 벼렸다. 「BUTTONS」의 황망하고도 생생한 스토리텔링 역시 귀를 잡아끈다. 믹스테잎으로 출발한 작품답게 날것의 질감이 두드러진다.

 

그 레어함으로부터 엔터테인먼트 신과 이방인의 대결 구도를 발견한다. 내면에 집중하던 <The Anecdote>와 가장 구별되는 지점이자 독특한 시선으로 개성을 확보하는 장치다. 공백기의 경험과 현 상황을 둘러보며 창작의 태도를 논하는 「CLOCK」, 횡행하는 가식과 쾌락주의를 비판하다 악 받친 분노를 쏟아내는 「05.30.18」은 물론 한정반의 「서울」, 「DON」에서도 자본과 영혼의 대결은 계속된다.

 

「그XX아들같이」는 완성된 자아의 대표곡이다. 여러 시련을 겪었고 음악 시장은 변했을지라도 굳은 영혼은 여전한데, 겉과 행동만 보는 이들은 ‘운 좋은 삶’과 ‘그XX아들같이 오늘만 사는 타입이네’를 수군댄다. 뮤직비디오 속 스탠딩 코미디를 진행하듯, 비틀거리는 가운데 확실한 사상을 논하고 편견을 비웃는 이센스의 퍼포먼스가 ‘이방인’의 칭호를 납득하게 만든다. 

 

XXX의 김심야는 이즘 인터뷰에서 ‘한국같이 아무 양분 없는 땅에는 건물을 올리기가 너무 좋다’는 표현으로 신에 대한 환멸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방인>의 이센스는 그 황폐한 곳에 나름의 건물 한 채를 올리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 꼭대기 층에서 섞이지 않을 세상을 내려다보며 현재를 만끽하고 본인의 철학을 다시 새긴다. 몰입도는 전작보다 덜하지만, 2019년 한국 힙합과 시스템을 관조하는 흥미로운 기록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YES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이센스 (E Sens) - 이방인 [한정반]

<이센스>14,100원(19% + 1%)

한정반은 BONUS 트랙 2곡 포함 총 15곡, 그리고 한정반 스티커가 들어있으며, 예약판매 기간에만 구매 가능합니다.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늙어도 낡아지지 않는 삶을 위하여

인생 2막을 살아가는 허은순 작가의 에세이. 50대 후반, 세상에 다시 도전한 작가가 기록한 생각의 단편을 엮어 책에 담았다. 창의적인 시니어 생산자로서 나이 듦의 의미를 새로이 개척한 그녀. 노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부순 삶의 이야기는 '나이는 그저 숫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AI 시대의 표준 인류

20만 베스트셀러 『포노 사피엔스』의 저자 최재붕 교수의 신작.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맞춰 진화하는 인류의 미래를 그린다. 일상부터 산업 전반까지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지. 'AI 사피엔스'로 살아갈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지. 한 권으로 만나는 '미래 준비 설명서'.

세상의 모든 노래를 네 목소리로만 듣고 싶어

기괴하지만 사랑스럽고, 어둡지만 찬란한 세계관을 선보이는 조예은의 신작. 사랑하는 이에게 배신당하면서 꿈을 잃은 주인공. 그녀에게 외삼촌의 유산인 ‘인어’가 나타난다. 그의 황홀한 목소리에 빠져 점차 몸과 마음을 바치게 되는데… 이 치명적인 사랑의 끝이 궁금하다면, 소설을 읽어볼 차례.

영화를 향한 고백의 연서

영화평론가이자 《씨네21》 편집장 송경원의 첫 책. 영화가 삶에 남기는 궤적을 통해 기억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의 한 장면이 된 우리의 삶을 꾹꾹 눌러썼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면 영화는 끝이 나지만 영화와의 대화는 비로소 시작되기에, 영화를 '쓴' 그의 글은 얼룩이 되어 우리에게 번져 온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