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직한 보호소라더니"...'유기견 장사' 의혹

2021.08.28 오후 10:33
[앵커]
'무료 입소와 무료 분양'을 내세운 한 사설 동물보호소가 유기견을 사고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실은 수백만 원의 비용을 내야만 입소가 가능했고, 비싼 분양가로 입양을 보내놓고 사후 조치는 외면했다는 겁니다.

엄윤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달, 고속도로 부근을 떠돌던 유기견 초코(가명)를 구조한 A 씨는 근처 사설 동물 보호소를 찾았습니다.

무료 입소가 가능하고 입양된 뒤 모니터링도 해준다는 애초 설명과 달리 보호소 측은 A 씨에게 훈련비 명목으로 5백만 원을 요구했습니다.

[A 씨 / 사설 동물보호소 피해자 : 제가 사실 병원비 정도는 생각했어요. 생명체고 아직 어린 아기고 그래서. 할인을 해주면 아기를 입양 때까지 돌봐주는 조건으로 150만 원으로 깎아줬어요.]

보호소로 보낸 지 3주가 될 무렵 초코가 입양됐다는 문자가 왔고, 이후 A 씨는 초코의 행방을 알 수 없었습니다.

[A 씨 / 사설 동물보호소 피해자 : 저희한테 상의도 안 했어요. 갑자기 보호소에 갔더니 초코(가명)가 없어졌어요. 유기견을 제가 공짜로 맡긴 건 아니잖아요. 겨우겨우 해서 사진 한 장을 받은 거예요.]

같은 곳에서 책임 비용으로 40만 원을 내고 리트리버 하이를 입양한 B 씨.

입양 3일 만에 하이가 치사율이 높은 홍역에 걸렸다는 판정을 받았는데, 당시 보호소 대표는 어떤 책임도 질 수 없다며 책임을 회피했습니다.

[B 씨 / 사설 동물보호소 피해자 : 홍역이 뭐 대수냐고. 애들은 다 걸릴 수 있다, 근데 그중에 죽는 거는 상황마다 다르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 내가 해결해 줄 수 있는 건 없고.]

피해자는 이들뿐만이 아니었습니다.

겉으로는 '무료 입소와 무료 입양'이라 해놓고 과도하게 비용을 청구하거나 입양 뒤 조치도 엉망이라는 항의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빗발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보호소 측은 되려 자신들이 양육비를 지급하며 유기견들을 입양 보낸다며 해당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질병에 대한 법적 책임도 물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사설 동물보호소 관계자 : 저희가 지원도 안 받는데 왜 무료로 받겠어요. 양육비도 드려요. 그렇게 해서 애들 보낸 적도 있어요. 법적으로 책임져야 해요. 일정 기간 책임을 져야 해요. 그러고 있어요, 저희도.]

화가 난 일부 피해자들이 지자체에 항의했지만, 돌아온 건 동물 보호소를 단속할 권한이 없다는 답변뿐.

[양평군청 관계자 : 여기는 사설 동물보호소로 개인이 운영하시는 곳이에요. 그 과정에서 비용이 서로 발생하고 데려가고 하는 거에 대해서 저희가 할 수 있는 게 없죠.]

보다 못한 동물보호단체가 해당 보호소를 동물보호법과 사기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이들은 보호소를 가장한 펫샵이 활개 치지 않도록 정부가 관련 법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도훈 / 동물보호단체 '캣치독팀' 지원장 : 동물보호법상 사설 보호소에 대한 규정이 명확히 없었기 때문에 나라와 지자체 차원에서 제대로 된 법규를 마련해야 하고요. 그래야만 민원이 들어올 때 동물보호단체들이 움직일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나오잖아요.]

현재 정부가 집계한 전국의 사설 동물보호소는 82곳.

신고 의무가 없다 보니 실태 조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YTN 엄윤주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