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단독 

조성은 “손준성, 검사 맞다는 빼도 박도 못할 증거 있어"

유설희·박순봉 기자
지난 10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한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씨. 뉴스룸 캡처.

지난 10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한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씨. 뉴스룸 캡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은 12일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 고발장을 보낸 ‘손준성’이란 인물이 실제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었던 손준성 검사임을 증명할 “빼도 박도 못할 증거가 있다”고 밝혔다. 조씨는 이 증거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대검찰청에 모두 보냈다고 했다.

조씨는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고발장을 김웅 의원에게 전달한 인물이 손준성 검사라는 것을 증명할 명확한 증거를 갖고 있고, 이를 공수처와 대검에 모두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빼도 박도 못할 증거가 있다”며 다만 증거의 형태에 대해선 “아직 알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증거의 형태가 음성 녹취나 메신저 캡쳐 화면은 아니라고 답했다. 조씨는 해당 증거에 대해 “지금 공수처에다가 확인을 해달라고 요청을 한 상태”라며 “맞다라고 나오는 순간 (기자들을)다 불러다가 한꺼번에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손준성이 손준성 검사가 되면 사건 국면이 바뀐다”고도 말했다. 조씨는 지난달 11일 박지원 국정원장과의 만남 때 다른 동석자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었다”고 했다.

조씨는 “지난해 검찰이 ‘검·언 유착’ 의혹 등과 관련해 언론인들을 내사 또는 사찰한 정황이 있다”며 추가 의혹도 제기했다. 조씨는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4월 3일 저에게 텔레그램으로 전달한 고발장을 보면, 피고발인에 여권 인사뿐 아니라 여러 언론인들이 실명으로 기재됐고, 이 기자들의 각종 활동상이 상세하게 파악돼 있다”면서 “이런 것은 검찰이 문제삼은 보도가 나오기 전부터 이 보도를 했던 기자들을 사전에 내사 또는 수사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했다.

조씨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윤 전 총장의 기자회견을 본 뒤 공수처에 자료 제공을 결심했으며, 박지원 국정원장이 제보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박 원장은 윤 전 총장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아서 상의할 대상으로 고려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조씨는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에게 직접 연락해 공익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친한 기자들에게 전화번호를 수소문해 한 부장에게 직접 연락해 공익신고를 하고 싶다고 했다”며 “김오수 검찰총장은 조국 전 장관때 차관을 했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민주당 소속이라 정치적으로 해석 안 되기 위해서였다”고 했다. 공익신고자에 대해 신변 보호 조치를 취해줄 수 있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아닌 대검에 공익 신고를 한 이유에 대해서는 “해당 수사기관이 직접 인지하지 않고 제3의 기관들에서 떠돌아다니길 원치 않는다”며 “(대검 감찰부에) 자료들의 원본 제출을 했다”고 밝혔다.

조씨는 대검에 공익 신고를 마친 뒤 공수처에도 자료를 제출한 이유에 대해서는 “윤 전 총장의 위협·위압적인 태도”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웅 의원 기자회견, 윤 전 총장 기자회견 이전에는 (대검에) 제출한 자료들의 포렌식 등 절차를 마친 뒤 일상으로 돌아가고자 했다”면서도 “윤 전 총장의 ‘누가 대검에서 저런 걸 공익신고로 인정해줬느냐’ 식의 위협·위압적인 태도와 마치 대검찰청에 영향을 끼치기 위한 이해할 수 없는 기자회견을 보고 난 후 대검 감찰부 외에 수사기관에 객관적 자료 제공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조씨는 이번 일이 정치적 배후 없이 스스로 결단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꾸 ‘젊은(경험 없고 미숙한)’, ‘여성’의 이미지로 제가 ‘감히’ 판단하고 결정할 수 없다는 식으로 뒤에 누가 있다고 하고 싶겠지만 2014년부터 책임과 결정이 있는 역할을 한 경험을 갖고 있다”고 반박했다. 박 원장이 제보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야권의 의혹 제기에 대해서는 “특정인들과의 식사를 했느니 여부는 이 사건과 연관될 여지가 없다”며 “박 원장님은 법사위를 오래 하셔서 윤 전 총장과도 친분이 있으신 것으로 알아 그 어떤 상의를 할 대상으로 고려하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조씨는 “애초부터 ‘조작타령’ ‘추미애 타령’ ‘박지원 타령’ 등등으로 프레임 씌우기를 시도하려는 것은 충분히 예상했다”며 “본질 왜곡을 위해 음해와 모욕, 명예훼손을 가한다면 수사기관에 적극적인 추가 증거 제출을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TV조선은 지난달 11일 조씨와 박 원장이 서울의 한 호텔 식당에서 만났다고 보도했다. 이는 <뉴스버스>가 조씨에게 제보를 받았다고 밝힌 날짜인 지난 7월21일과 첫 보도가 나온 9월2일 사이의 시점이다. 이에 박 원장은 “자주 만나는 사이고 그 이후에 만났다”며 만남 자체는 인정했다. 다만 “전화도 자주하고 똑똑한 친구로 생각하지만 이번 사건과 관련된 대화는 전혀 없었다”며 개입 의혹을 부인했다. 조씨는 2016년 박 원장이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을 당시 비대위원이었다. 국민의힘과 윤 전 총장 캠프에서는 “박 원장이 개입해 정치공작을 벌이려 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조씨는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는 “압수수색 등에 처한 상황과 개인적인 비극은 매우 유감”이라면서도 “차차 밝히겠지만 ‘윤석열 대검찰청의 야당 고발사주’ 사건의 내용은 중대하고 심각하다. 제가 기자의 신분이었어도 이러한 중대 사건은 반드시 보도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을 것 같다”고 했다.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