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를 바늘로 찌르면 풍선처럼 터질까. 그렇지 않았다. 열을 가해도 죽거나 모양이 파괴되지 않고 곧 원상회복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헝가리 세멜바이스대 연구진은 지난 17일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학술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 입자를 바늘로 몇 차례 찔렀을 때 ‘풍선처럼’ 터지는지 실험했다. 입자는 터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직경 80㎚(나노미터·100만분의 1㎜)인 코로나 바이러스 입자를 미세바늘로 관통했지만, 모양이 찌그러질 뿐이었다. 바늘을 빼면 다시 원상회복했다. 실험은 무려 100차례나 되풀이됐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는 온전한 모양을 유지했다.

가열해도 마찬가지였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 입자에 90도 열을 10분간 가했으나 “원형의 모양이 아주 조금 바뀌었을 뿐, 거의 영향이 없었다”고 했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열에 그을리면 일부 떨어져 나가지만, 바이러스의 전체적 구조는 온전하게 유지됐다고 밝혔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숙주 세포에 침입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는 다양하게 보고됐다. 중국 칭화대 연구진은 26개,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24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진은 40개가 있다고 보고했다. 세멜바이스대 연구진은 이보다 많은 61개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논문에 기술했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금껏 알려진 바이러스 중 최고의 탄력성을 가진 바이러스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외부의 환경에 잘 적응해 쉽게 죽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놀라운 자가 치유력은 광범위하게 다른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고 했다.